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6일 (월)
잔글
(새 문서: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을 통칭하며, 치료가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다. 임상적으로 흔...)
 
11번째 줄: 11번째 줄:
실모양체는 0.5mm에서 수 m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각막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아래쪽으로 작은 회색의 상피하 혼탁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힘껏 눈을 깜빡일 때 실모양체가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생겨난 상피 결손은 실모양체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br />실모양체는 rose bengal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바닥의 상피 결손은 형광염색에서 매우 잘 염색되며, 돌출되어 있는 실모양체는 어두운 염색 양상을 보인다.
실모양체는 0.5mm에서 수 m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각막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아래쪽으로 작은 회색의 상피하 혼탁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힘껏 눈을 깜빡일 때 실모양체가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생겨난 상피 결손은 실모양체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br />실모양체는 rose bengal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바닥의 상피 결손은 형광염색에서 매우 잘 염색되며, 돌출되어 있는 실모양체는 어두운 염색 양상을 보인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원인의 교정 :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렌즈의 과다 착용, 각막에 독성이 있는 약물 사용, 오랜 눈꺼풀 차폐 등 원인을 발견하고 교정해야 한다. 최근 Kakizaki 등은 눈꺼풀 처짐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환자에 눈꺼풀 처짐 교정술을 시행함으로써 실모양 각막염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p>2. 기계적인 제거 : 일시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지만 궁극적인 치료가 되지는 못한다. Jeweler 혹은 tying 겸자로 제거하며, 상피 결손이 생길 경우 새로운 실모양체의 수용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손이 생기지 않게 제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원인의 교정 :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렌즈의 과다 착용, 각막에 독성이 있는 약물 사용, 오랜 눈꺼풀 차폐 등 원인을 발견하고 교정해야 한다. 최근 Kakizaki 등은 눈꺼풀 처짐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환자에 눈꺼풀 처짐 교정술을 시행함으로써 실모양 각막염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 기계적인 제거 : 일시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지만 궁극적인 치료가 되지는 못한다. Jeweler 혹은 tying 겸자로 제거하며, 상피 결손이 생길 경우 새로운 실모양체의 수용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손이 생기지 않게 제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인공눈물, 연고 : 낮에 인공눈물을 점안하고 자기 전에 연고를 점안하면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환자에서 점액성 눈물 제제가 효과를 나타내지만, 점액성 눈물제제나 연고는 눈물층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오히려 실모양체 생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가급적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인공눈물 제제를 사용한다. 최근 기름을 용제로 개발된 인공눈물은 지질층을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안구 건조증이 있는 경우 눈물점 폐쇄가 도움이 된다.
* 인공눈물, 연고 : 낮에 인공눈물을 점안하고 자기 전에 연고를 점안하면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환자에서 점액성 눈물 제제가 효과를 나타내지만, 점액성 눈물제제나 연고는 눈물층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오히려 실모양체 생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가급적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인공눈물 제제를 사용한다. 최근 기름을 용제로 개발된 인공눈물은 지질층을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안구 건조증이 있는 경우 눈물점 폐쇄가 도움이 된다.
* 5% 염화 나트륨 : Hamilton과 Wood는 5% NaCl을 하루에 3~4회 점안하자 95%의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약물은 상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유착을 증가시키는데, 체액이 삼투압 차이로 인해 결막 실질에서 각막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건조함이 해소된다. 삼투압 차이를 이용하여 표면 윤활을 증가시키는 저장액 역시 효과적일 수 있다.
* 5% 염화 나트륨 : Hamilton과 Wood는 5% NaCl을 하루에 3~4회 점안하자 95%의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약물은 상피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유착을 증가시키는데, 체액이 삼투압 차이로 인해 결막 실질에서 각막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건조함이 해소된다. 삼투압 차이를 이용하여 표면 윤활을 증가시키는 저장액 역시 효과적일 수 있다.
19번째 줄: 20번째 줄:


기타 치료로 eledoisin, β선 조사, heparin이나 dextran의 국소 투여, 점액 용해제의 전신 투여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기타 치료로 eledoisin, β선 조사, heparin이나 dextran의 국소 투여, 점액 용해제의 전신 투여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흔히 재발한다.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흔히 재발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