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DS2 (2013):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47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3월 5일 (일)
잔글
잔글 (→‎결론)
잔글 (→‎결과)
7번째 줄: 7번째 줄:
루테인+제아잔틴, DHA (dicosahexaenoic acid) + EPA (eicosapentaenoic acid), 그리고 이둘 모두를 AREDS 연구의 영양소들에 추가로 복용하였을 때 후기 황반변성으로의 진행 위험을 감소시키는지, 그리고 기존의 AREDS 영양소에서 베타 카로틴을 제거, 아연을 감량, 또는 이 둘을 모두 시행할 때의 영향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br />양안에 큰 드루젠이 있거나 한쪽 눈에 큰 드루젠과 다른 눈에 후기 황반변성이 있는 50~85세의 참가자 4,203 명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루테인+제아잔틴, DHA (dicosahexaenoic acid) + EPA (eicosapentaenoic acid), 그리고 이둘 모두를 AREDS 연구의 영양소들에 추가로 복용하였을 때 후기 황반변성으로의 진행 위험을 감소시키는지, 그리고 기존의 AREDS 영양소에서 베타 카로틴을 제거, 아연을 감량, 또는 이 둘을 모두 시행할 때의 영향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br />양안에 큰 드루젠이 있거나 한쪽 눈에 큰 드루젠과 다른 눈에 후기 황반변성이 있는 50~85세의 참가자 4,203 명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 결과 ==
== 결과 ==
5년 경과관찰 기간동안 일차 분석에서 루테인+제아잔틴, DHA+EPA, 또는 모두를 기존의 AREDS 영양소에 추가하는 것은 후기 황반변성으로의 진행 위험을 추가로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또한 베타 카로틴을 제거하거나 아연을 감량하는 것도 후기 황반변성으로의 진행에 영향이 없었으며, 흡연력이 있는 환자들에서 베타 카로틴 복용군의 폐암 발생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년이었고, 1940안 (1608명) 에서 진행된 AMD로 진행하였다. 5년까지 진행된 AMD로 진행할 확률은
* 위약 : 31% (493안 (406명))
* 루테인+제아잔틴 : 29% (486안 (339명)) (위험비 (HR) 0.90 [98.7% CI 0.76~1.07], P=0.12)
* DHA+EPA : 31% (507안 (416명)) (HR 0.97 [98.7% CI 0.82~1.16], P=0.70)
* 다 : 30% (472안 (387명)) (HR 0.89 [98.7% CI 0.75~1.06], P=0.10)
으로 나타났다. 1차 분석에서 위약과 분석한 결과, 진행된 AMD로의 진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했다. β-카로틴을 섭취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폐암이 더 많이 발생했고 (23명 (2.0%) vs 11명 (0.9%), P=0.04), 대부분 흡연자였다.
 
== 결론 ==
== 결론 ==
1차 분석에서 루테인+제아잔틴, DHA+EPA 또는 두 가지를 모두 AREDS 제형에 추가해도 진행된 AMD로의 진행 위험을 추가로 줄이지 못했다. 그러나 흡연자에서 폐암의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루테인+제아잔틴은 AREDS 제형에서 적절한 카로티노이드 대체제가 될 수 있다.
1차 분석에서 루테인+제아잔틴, DHA+EPA 또는 두 가지를 모두 AREDS 제형에 추가해도 진행된 AMD로의 진행 위험을 추가로 줄이지 못했다. 그러나 흡연자에서 폐암의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루테인+제아잔틴은 AREDS 제형에서 적절한 카로티노이드 대체제가 될 수 있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