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02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3월 22일 (수)
잔글
9번째 줄: 9번째 줄:


=== 결정 저장성 조직구증 (crystal-storing histiocytosis) ===
=== 결정 저장성 조직구증 (crystal-storing histiocytosis) ===
카파경쇄가 증가한 [[이상단백혈증]]에서 주로 나타나며, 안와의 지방층을 침범하여 덩이를 이루는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ref>Balderman SR et al. Unusual Manifestations of Monoclonal Gammopathy : I. Ocular Disease. ''Rambam Maimonides Med J''. 2015 Jul 30;6(3):e0026. [https://pubmed.ncbi.nlm.nih.gov/26241228/ 연결]</ref>.
카파경쇄가 증가한 [[이상단백혈증]]에서 주로 나타나며, 안와의 지방층을 침범하여 덩이를 이루는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
 
=== 구리 침착 각막병증 ===
=== 구리 침착 각막병증 ===
IgG와 람다 경쇄 (λlight chain) 가 증가한 이상단백혈증에서 주로 나타나며, 데스메막과 수정체낭에 구리침착으로 인한 색깔 변화가 생긴다고 보고되어 있다.6,11 구리는 각막 중앙에 주로 침착된다. 항암 치료로 시력 개선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는 없으나, 백내장 수술이 시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보고는 있다.6
IgG와 람다 경쇄 (λlight chain) 가 증가한 이상단백혈증에서 주로 나타나며, 데스메막과 수정체낭에 구리침착으로 인한 색깔 변화가 생긴다고 보고되어 있다.6,11 구리는 각막 중앙에 주로 침착된다. 항암 치료로 시력 개선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는 없으나, 백내장 수술이 시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보고는 있다.6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