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병인)
3번째 줄: 3번째 줄:
침착물이 생기는 위치와 형상이 다양하며 희귀하여 보고된 사례가 많지 않다. [[이상단백혈증]]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안구 관련 합병증이나, 환자의 1% 미만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ref>Moshirfar M et al. Paraproteinemic Keratopathy.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cited 2022 Jul 25].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0482/.</ref>.
침착물이 생기는 위치와 형상이 다양하며 희귀하여 보고된 사례가 많지 않다. [[이상단백혈증]]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안구 관련 합병증이나, 환자의 1% 미만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ref>Moshirfar M et al. Paraproteinemic Keratopathy.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cited 2022 Jul 25].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60482/.</ref>.
== 병인 ==
== 병인 ==
파라단백들이 눈물막을 타고, 혹은 전방 내의 방수를 통해 확산되거나, 윤부세포 근처의 혈관궁을 따라 각막까지 도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ref>Steinberg J et al. Bilateral crystalline corneal deposits as first clinical manifestation of monoclonal gammopathy : a case report. ''Case Rep Ophthalmol''. 2011 May;2(2):222-7. [https://pubmed.ncbi.nlm.nih.gov/21829405/ 연결]</ref><ref>Karakus S et al. Monoclonal gammopathy of 'ocular' significance. ''AJO Case Rep''. 2019 May 20;15:100471. [https://pubmed.ncbi.nlm.nih.gov/31193528/ 연결]</ref>.
파라단백들이 눈물막을 타고, 혹은 전방 내의 방수를 통해 확산되거나, 윤부세포 근처의 혈관궁을 따라 각막까지 도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ref name=r3>Steinberg J et al. Bilateral crystalline corneal deposits as first clinical manifestation of monoclonal gammopathy : a case report. ''Case Rep Ophthalmol''. 2011 May;2(2):222-7. [https://pubmed.ncbi.nlm.nih.gov/21829405/ 연결]</ref><ref>Karakus S et al. Monoclonal gammopathy of 'ocular' significance. ''AJO Case Rep''. 2019 May 20;15:100471. [https://pubmed.ncbi.nlm.nih.gov/31193528/ 연결]</ref>.
 
== 분류 ==
== 분류 ==
=== 결정성 각막병증 ===
=== 결정성 각막병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