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32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3월 22일 (수)
잔글
잔글 (→‎치료)
19번째 줄: 19번째 줄:
== 치료 ==
== 치료 ==
공통적으로 PPK는 이상 단백의 혈중 농도가 높을 경우 생기며 혈중 농도 감소 없이 각막에 국한된 치료로는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내과적 치료 적응증이 아닌 파라단백혈증 환자에서 PPK가 발견된 경우 수개월 내로 다발성 골수종 등의 치료가 필요한 암으로 진행한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ref>Wang TP et al. Subepithelial corneal IG deposition as a manifestation of MM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Clin Lymphoma Myeloma Leuk''. 2014 Feb;14(1):e39-42. doi: 10.1016/j.clml.2013.09.012. Epub 2013 Oct 1. PMID: 24211225.</ref>. 따라서 진단이 되는 즉시 혈액종양내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혈액암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
공통적으로 PPK는 이상 단백의 혈중 농도가 높을 경우 생기며 혈중 농도 감소 없이 각막에 국한된 치료로는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내과적 치료 적응증이 아닌 파라단백혈증 환자에서 PPK가 발견된 경우 수개월 내로 다발성 골수종 등의 치료가 필요한 암으로 진행한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ref>Wang TP et al. Subepithelial corneal IG deposition as a manifestation of MM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Clin Lymphoma Myeloma Leuk''. 2014 Feb;14(1):e39-42. doi: 10.1016/j.clml.2013.09.012. Epub 2013 Oct 1. PMID: 24211225.</ref>. 따라서 진단이 되는 즉시 혈액종양내과 전문의에게 의뢰하여 혈액암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
각막의 침착물은 그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양하나, 궁극적으로 치료 레이저 각막절제술, 전층각막이식, 심부표층 각막이식 등의 수술을 통해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2 하지만 전신 질환에 따른 PPK는 치료에 대해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