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각막 윤부, 결막의 충혈 : 안표면에서 CL과의 마찰 및 압력에 의한 기계적인 효과로 발생할 수 있다. | * 각막 윤부, 결막의 충혈 : 안표면에서 CL과의 마찰 및 압력에 의한 기계적인 효과로 발생할 수 있다. | ||
* 각막 조직의 부종 : CL 착용에 의한 각막의 저산소증이다. 각막의 저산소증은 초기에 각막 내 젖산,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야기시키며 점차적으로 각막 내 글리코겐의 고갈과 ATP 생성이 줄어들면서 내피세포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해 각막 부종이 생긴다<ref>Liesegang TJ. Physiologic changes of the cornea w CL wear. ''CLAO J''. 2002 Jan;28(1):12-27. [https://pubmed.ncbi.nlm.nih.gov/11838985/ 연결]</ref>. | * 각막 조직의 부종 : CL 착용에 의한 각막의 저산소증이다. 각막의 저산소증은 초기에 각막 내 젖산, 이산화탄소의 축적을 야기시키며 점차적으로 각막 내 글리코겐의 고갈과 ATP 생성이 줄어들면서 내피세포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해 각막 부종이 생긴다<ref>Liesegang TJ. Physiologic changes of the cornea w CL wear. ''CLAO J''. 2002 Jan;28(1):12-27. [https://pubmed.ncbi.nlm.nih.gov/11838985/ 연결]</ref>. | ||
=== 만성 반응 === | |||
각막의 저산소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장기간 축적된 젖산으로 인해 각막 기질세포가 감소할 수 있고, 고삼투압과 산성화로 인해 각막 내 | |||
피세포의 육각세포 비율 (hexagonality), 내피세포 밀도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가 감소하여 비가역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ref>Mac Rae SM et al. The effects of HCL and SCL on the corneal endothelium. ''AJO''. 1986 Jul 15;102(1):50-7. [https://pubmed.ncbi.nlm.nih.gov/3728624/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