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흑색종: 두 판 사이의 차이

31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5월 19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b>맥락막 흑색종 (choroidal melanoma)</b>
<b>맥락막 흑색종 (choroidal melanoma)</b>
== 역학 ==
== 역학 ==
원발성 안내 종양으로는 가장 흔하다. 성인 백인에서 흔하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고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백인에 비하여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서 미국의 1/10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100만명 당 6명이, 우리나라는 보고된 것이 없으나 연 4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성인에서 발생하는 안구 내 원발성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이며, 안구 내 악성 종양 중에서는 전이성 종양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질환이다<ref>Kaliki S et al. Uveal melanoma : relatively rare but deadly cancer. ''Eye (Lond)''. 2017 Feb;31(2):241-257. [https://pubmed.ncbi.nlm.nih.gov/27911450/ 연결]</ref>.
 
성인 백인에서 흔하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고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백인에 비하여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서 미국의 1/10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100만명 당 6명이, 우리나라는 보고된 것이 없으나 연 4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나이, 성, 인종, 유전, 멜라닌세포증, [[맥락막 모반]], 형성이상성 모반 증후군, 호르몬 영향, 안구나 피부색, 안구 외의 암 기왕력 등이 보고되어 있다.
나이, 성, 인종, 유전, 멜라닌세포증, [[맥락막 모반]], 형성이상성 모반 증후군, 호르몬 영향, 안구나 피부색, 안구 외의 암 기왕력 등이 보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