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툭시맙: 두 판 사이의 차이

78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5월 22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리툭시맙 (rituximab)''' 은 B세포 분화 과정 중 early pre-B세포에서부터 성숙 B세포 단계까지 세포막에 발현되는 CD20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 역할을 하는 표적 치료제이다<ref>Reff ME et al. Depletion of B cells in vivo by a chimeric mouse human monoclonal antibody to CD20. ''Blood''. 1994 Jan 15;83(2):435-45. [https://pubmed.ncbi.nlm.nih.gov/7506951/ 연결]</ref>.
'''리툭시맙 (rituximab)''' 은 B세포 분화 과정 중 early pre-B세포에서부터 성숙 B세포 단계까지 세포막에 발현되는 CD20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 역할을 하는 표적 치료제이다<ref>Reff ME et al. Depletion of B cells in vivo by a chimeric mouse human monoclonal antibody to CD20. ''Blood''. 1994 Jan 15;83(2):435-45. [https://pubmed.ncbi.nlm.nih.gov/7506951/ 연결]</ref>.
== 기전 ==
CD20 항원에 결합을 한 후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성 세포독성 (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ADCC) 이나 보체 의존적 세포독성 (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 혹은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B세포를 고갈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부작용 ==
B세포의 자가 조절을 활성화시키는 B세포 활성 인자 (BAFF) 가 늘어나 ANCA 관련 혈관염 등의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ref>Thien M et al. Excess BAFF rescues self-reactive B cells from peripheral deletion and allows them to enter forbidden follicular and marginal zone niches. ''Immunity''. 2004 Jun;20(6):785-98. [https://pubmed.ncbi.nlm.nih.gov/15189742/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