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흘 | |||
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 | |||
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 | |||
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 | |||
소한다. | |||
5 세극등검사에서 급성충혈증후군 환자의 92.9%에 | |||
서 결막이나 각막윤부의 충혈이 관찰된다. | |||
7 충혈은 결막에 | |||
비해 각막윤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각막윤부 충혈의 | |||
정도는 실리콘하이드로겔콘택트렌즈에 비해 하이드로겔콘 | |||
택트렌즈에서 심하다. 이전 콘택트렌즈 착용 과거력과는 | |||
상관 없이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 |||
있다. | |||
8 세극등검사상 각막상피층의 침범은 90% 정도는 뚜 | |||
렷하게 관찰되지 않고, 약 10% 내의 빈도에서 점상의 플루 | |||
레신염색이 관찰될 수 있다. | |||
5 각막기질침윤은 1 mm 이하의 | |||
작은 침윤들이 국소적으로 뭉친 형태로 보이거나 다발적인 | |||
형태로 각막 전반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각막의 중심-주변 | |||
부 혹은 주변부에서 호발한다. | |||
5 | |||
10% 미만으로는 각막의 기 | |||
질침윤이 중심부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저하를 동반하 | |||
지만 2-3일 이내로 회복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심 | |||
할 경우에는 1% 정도에서는 각막상피의 미란이 관찰되고, | |||
9 | |||
전방 내에 염증세포나 전방축농도 동반된다. | |||
10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