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두 판 사이의 차이

279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5월 22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흘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 흘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소한다<ref>Sweeney DF et al.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observed w SCL wear. ''Cornea''. 2003 Jul;22(5):435-4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49/ 연결]</ref>.
,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
 
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
세극등 검사에서 CLARE 환자의 92.9%에서 결막이나 각막 윤부의 충혈이 관찰된다<ref>Stapleton F et al. CLEAR - CL complications. ''Cont Lens Anterior Eye''. 2021 Apr;44(2):330-367. [https://pubmed.ncbi.nlm.nih.gov/33775382/ 연결]</ref>. 충혈은 결막에 비해 각막윤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각막 윤부 충혈의 정도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CL에 비해 하이드로겔 CL에서 심하다. 이전 CL 착용 과거력과는 상관 없이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소한다.
5 세극등검사에서 급성충혈증후군 환자의 92.9%
결막이나 각막윤부의 충혈이 관찰된다.
7 충혈은 결막에
비해 각막윤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각막윤부 충혈의
정도는 실리콘하이드로겔콘택트렌즈에 비해 하이드로겔콘
택트렌즈에서 심하다. 이전 콘택트렌즈 착용 과거력과는
상관 없이 콘택트렌즈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8 세극등검사상 각막상피층의 침범은 90% 정도는 뚜
8 세극등검사상 각막상피층의 침범은 90% 정도는 뚜
렷하게 관찰되지 않고, 약 10% 내의 빈도에서 점상의 플루
렷하게 관찰되지 않고, 약 10% 내의 빈도에서 점상의 플루
33번째 줄: 24번째 줄:
전방 내에 염증세포나 전방축농도 동반된다.
전방 내에 염증세포나 전방축농도 동반된다.
10
10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하는 각막 질환과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일단, 안충혈의 경우 문진을 통해 일시적 자극, 건성안증후군, 피로, 수면 부족, 외상, 알레르기 등에 의한 것인지 감별해야 하며,9 증상을 동반한 각막상피 혹은 각막기질의 침윤이 있으면 콘택트렌즈와 연관된 각막 침윤 질환 (corneal infiltrative events, CIE) 에 속하는 콘택트렌즈에 의한 침윤 각막염 (IK), 주변부 각막 궤양 (CLPU), 감염 각막염 (microbacterial keratitis, MK) 등과 임상적으로 감별해야 한다.5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하는 각막 질환과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일단, 안충혈의 경우 문진을 통해 일시적 자극, 건성안증후군, 피로, 수면 부족, 외상, 알레르기 등에 의한 것인지 감별해야 하며,9 증상을 동반한 각막상피 혹은 각막기질의 침윤이 있으면 콘택트렌즈와 연관된 각막 침윤 질환 (corneal infiltrative events, CIE) 에 속하는 콘택트렌즈에 의한 침윤 각막염 (IK), 주변부 각막 궤양 (CLPU), 감염 각막염 (microbacterial keratitis, MK) 등과 임상적으로 감별해야 한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