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위험 인자)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그람 음성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 Paer1에서 방출되는 내독소에 의해 염증 반응이다<ref>Estrellas PS Jr et al. A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isolated from a CLARE is protease-deficient. ''Curr Eye Res''. 2000 Mar;20(3):157-65. [https://pubmed.ncbi.nlm.nih.gov/10694889/ 연결]</ref>. | 그람 음성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 Paer1에서 방출되는 내독소에 의해 염증 반응이다<ref>Estrellas PS Jr et al. A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isolated from a CLARE is protease-deficient. ''Curr Eye Res''. 2000 Mar;20(3):157-65. [https://pubmed.ncbi.nlm.nih.gov/10694889/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 흘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소한다<ref>Sweeney DF et al.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observed w SCL wear. ''Cornea''. 2003 Jul;22(5):435-4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49/ 연결]</ref>. |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 흘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소한다<ref>Sweeney DF et al.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observed w SCL wear. ''Cornea''. 2003 Jul;22(5):435-4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49/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