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그람 음성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 Paer1에서 방출되는 내독소에 의해 염증 반응이다<ref>Estrellas PS Jr et al. A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isolated from a CLARE is protease-deficient. ''Curr Eye Res''. 2000 Mar;20(3):157-65. [https://pubmed.ncbi.nlm.nih.gov/10694889/ 연결]</ref>.
그람 음성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 Paer1에서 방출되는 내독소에 의해 염증 반응이다<ref>Estrellas PS Jr et al. A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isolated from a CLARE is protease-deficient. ''Curr Eye Res''. 2000 Mar;20(3):157-65. [https://pubmed.ncbi.nlm.nih.gov/10694889/ 연결]</ref>.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 흘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소한다<ref>Sweeney DF et al.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observed w SCL wear. ''Cornea''. 2003 Jul;22(5):435-4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49/ 연결]</ref>.
콘택트렌즈 착용력과 함께 갑작스러운 안통, 눈물 흘림, 이물감, 눈부심을 호소하는데,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도 약 70%에 해당되며, 증상을 느낀 환자들의 약 55%는 렌즈 착용 후 눈을 뜬 아침에 주로 증상을 호소한다<ref name=r3>Sweeney DF et al. Clinical characterization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observed w SCL wear. ''Cornea''. 2003 Jul;22(5):435-4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49/ 연결]</ref>.


세극등 검사에서 CLARE 환자의 92.9%에서 결막이나 각막 윤부의 충혈이 관찰된다<ref>Stapleton F et al. CLEAR - CL complications. ''Cont Lens Anterior Eye''. 2021 Apr;44(2):330-367. [https://pubmed.ncbi.nlm.nih.gov/33775382/ 연결]</ref>. 충혈은 결막에 비해 각막윤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각막 윤부 충혈의 정도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CL에 비해 하이드로겔 CL에서 심하다. 이전 CL 착용 과거력과는 상관 없이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ref>Stapleton F et al. Altered conjunctival response after CL-related corneal inflammation. ''Cornea''. 2003 Jul;22(5):443-7.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50/ 연결]</ref>.
세극등 검사에서 CLARE 환자의 92.9%에서 결막이나 각막 윤부의 충혈이 관찰된다<ref>Stapleton F et al. CLEAR - CL complications. ''Cont Lens Anterior Eye''. 2021 Apr;44(2):330-367. [https://pubmed.ncbi.nlm.nih.gov/33775382/ 연결]</ref>. 충혈은 결막에 비해 각막윤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각막 윤부 충혈의 정도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CL에 비해 하이드로겔 CL에서 심하다. 이전 CL 착용 과거력과는 상관 없이 착용의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렌즈 착용 후 4시간 이상 착용한 경우에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ref>Stapleton F et al. Altered conjunctival response after CL-related corneal inflammation. ''Cornea''. 2003 Jul;22(5):443-7. [https://pubmed.ncbi.nlm.nih.gov/12827050/ 연결]</ref>.


각막 상피층의 침범은 90% 정도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고, 약 10% 내의 빈도에서 점상의 [[플루레신]] 염색이 관찰될 수 있다.5 각막 기질 침윤은 1 mm 이하의 작은 침윤들이 국소적으로 뭉친 형태로 보이거나 다발적인
각막 상피층의 침범은 90% 정도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고, 약 10% 내의 빈도에서 점상의 [[플루레신]] 염색이 관찰될 수 있다<ref name=r3 />. 각막 기질 침윤은 1 mm 이하의 작은 침윤들이 국소적으로 뭉친 형태로 보이거나 다발적인 형태로 각막 전반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각막의 중심-주변부 혹은 주변부에서 호발한다<ref name=r3 />. 10% 미만으로는 각막의 기질 침윤이 중심부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저하를 동반하지만 2-3일 이내로 회복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1% 정도에서는 각막 상피의 미란이 관찰되고<ref>Efron N et al. Chronic morbidity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a/w CL wear. ''Cornea''. 2007 Aug;26(7):793-9. [https://pubmed.ncbi.nlm.nih.gov/17667611/ 연결]</ref>, 전방 내에 염증 세포나 전방 축농도 동반된다<ref>Cutter GR et al. The clinical presentation, prevalence, and RFs of focal corneal infiltrates in SCL wearers. ''CLAO J''. 1996 Jan;22(1):30-7. [https://pubmed.ncbi.nlm.nih.gov/8835066/ 연결]</ref>.
형태로 각막 전반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각막의 중심-주변부 혹은 주변부에서 호발한다.5 10% 미만으로는 각막의 기질 침윤이 중심부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저하를 동반하지만 2-3일 이내로 회복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1% 정도에서는 각막 상피의 미란이 관찰되고<ref>Efron N et al. Chronic morbidity of corneal infiltrative events a/w CL wear. ''Cornea''. 2007 Aug;26(7):793-9. [https://pubmed.ncbi.nlm.nih.gov/17667611/ 연결]</ref>, 전방 내에 염증 세포나 전방 축농도 동반된다<ref>Cutter GR et al. The clinical presentation, prevalence, and RFs of focal corneal infiltrates in SCL wearers. ''CLAO J''. 1996 Jan;22(1):30-7. [https://pubmed.ncbi.nlm.nih.gov/8835066/ 연결]</ref>.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