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치료)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우선적으로는 CL 착용을 중단하고<ref name=r8>Robboy MW et al. CL-associated corneal infiltrates. ''Eye Contact Lens''. 2003 Jul;29(3):146-54. [https://pubmed.ncbi.nlm.nih.gov/12861108/ 연결]</ref>, 항생제나 항염증 점안약 및 인공누액의 점안 등 보존적인 치료만 하더라도 결막 충혈은 3일 이내로, 각막 기질의 침윤은 1~2주 이내로 호전된다<ref name=r8 />. 일반적으로 정상의 상태로 회복되는 데는 약 6주간의 시간이 걸리고 각막 혼탁은 남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우선적으로는 CL 착용을 중단하고<ref name=r8>Robboy MW et al. CL-associated corneal infiltrates. ''Eye Contact Lens''. 2003 Jul;29(3):146-54. [https://pubmed.ncbi.nlm.nih.gov/12861108/ 연결]</ref>, 항생제나 항염증 점안약 및 인공누액의 점안 등 보존적인 치료만 하더라도 결막 충혈은 3일 이내로, 각막 기질의 침윤은 1~2주 이내로 호전된다<ref name=r8 />. 일반적으로 정상의 상태로 회복되는 데는 약 6주간의 시간이 걸리고 각막 혼탁은 남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
환자의 증상이 호전된 후에는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CL의 올바른 세척법, 착용법, 보관법 등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CL 착용 시 렌즈의 표면에 단백질이나 지방이 침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침착물은 시력의 감소와 이물감, CL 수명의 단축과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사용자에게 교육하고 계면활성세척제, 효소세척제의 사용 방법과 SCL, HCL의 소독 및 보관 방법을 인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기계적인 마찰을 줄이기 위해 CL의 크기를 환자 본인의 눈에 맞게 피팅하거나 재질을 매일 착용 SCL 혹은 RGP렌즈로 바꾸는 것도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