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 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3,19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5월 28일 (일)
잔글
잔글 (→‎단계)
잔글 (→‎증상)
 
24번째 줄: 24번째 줄:
* 5기 (매우 심한) : 시신경 유두에 위치한 모든 주요 망막 혈관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1개 이상의 주요 망막 혈관이 완전히 가려짐
* 5기 (매우 심한) : 시신경 유두에 위치한 모든 주요 망막 혈관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1개 이상의 주요 망막 혈관이 완전히 가려짐
== 증상 ==
== 증상 ==
=== 두통 ===
뇌척수액압 상승의 가장 혼한 초기 증상은 두통이다. 두통은 뇌척수액압 증가로 뇌막이 늘어나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아침에 일어날 때,복압이 올라갈 때, 급격한 체위 변화가 발생할 때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2ᄋ 따라서 문진을 할 때 두통의 양상 혹은 악화 인자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는 것이 유두 부종을 의심하고 감별할 때 도움이 된다.
=== 구역, 구토 ===
뇌척수액압이 아주높으면 구역, 구토, 서맥이 발생할수 있다. 의식 소실,동공 확장이 선행하거나 동반된다.
=== 의식 상실, 동공 이상 ===
의식 상실은 대뇌 피질이 압박을 받거나 혈액 공급이 저하될 때 발생한다. 천막 탈출로 인해 대뇌 다리에 압력이 가해지면 전반적인 운동경직이 발생할 수 있고, [[동안신경]] 혹은 등쪽 중뇌에 압력이 가해지면 대광 반사가 소실되면서 동공 확장이 있을 수 있다.
=== 시각 증상, 시야 장애 ===
급성 유두부종 초기에는 시력이나 중심시야에 뚜렷한 영향이 없다. 따라서 유두부종 초기에는 정상 시력 및 색각을 가지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두눈에 대칭적으로 발생하며 초기에 시기능 저하가 경미하므로 RAPD는 관찰되지 않는다. 대신 시각 경로에 생긴 종양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시각 경로를 압박하거나 침윤하게 되면 급성기 유두 부종에서도 시력 및 시야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유두부종으로 인한 가장 흔한 시야장애는 생리적 암점이 커지는 것이지만, 하비측 사분맹, 중심부근 암점, 궁상 암점, 시야 협착과 같은 형태로도 발생할 수 있다.16
한편,한눈 혹은 두눈이 수 초간 안 보이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경미한 흐려보임에서부터 광각없음까지 다양하며,잠시 동안 지속되다가 완전히 회복된다. 주로 자세를 갑자기 바꿀 때 발생하며,뇌척수액압의 증가로 관류압이 감소하면서 시신경 유두에 일시적인 허혈이 발생하여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9,18
=== 복시 ===
두개 기저 부위 (skull base) 에서의 외향신경에 대한 척수액압의 직접적인 압박 혹은 압력으로 인한 신경 당겨짐이 한눈 혹은 두눈에 발생하여 눈운동이상으로 인한 복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두개내에서 주행거리가 가장 긴 외향신경이 압박에 노출될 위험이 가장 높으며, 따라서 외향신경마비로 인한 급성 내사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한편, 비일치성 내사시로 나타나지만 일치성 내사시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이런 경우 눈벌림 부족형 내사시로 보이기도 한다. 활차신경도 등쪽중뇌나 신경 자체가 눌려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이로 인해 환자가 회선복시를 호소할 수 있다. 이때 활차신경마비는 스큐편위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Bielschowsky 머리기울임 검사 등을 시행하여 감별해야 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