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관련 질환) |
잔글 (→발생 기전)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수 신경 섬유 (myelinated nerve fiber; MNF)'''{{신경안과}} 는 출생 시 모두 없어져야 하는 망막 신경섬유의 수초가 남아 있는 현상이다. | '''유수 신경 섬유 (myelinated nerve fiber; MNF)'''{{신경안과}} 는 출생 시 모두 없어져야 하는 망막 신경섬유의 수초가 남아 있는 현상이다. | ||
== 발생 기전 == | == 발생 기전 == | ||
임신 5개월이 되면 외슬상체에서 시신경 교차 쪽으로 수초 형성이 시작되어 8개월째에 안구 뒤 시신경까찌 진행하고 10개월째에 사상판까지 수초 형성이 일어난다<ref>De Jong PT et al. Medullated nerve fibers. A sign of multiple basal cell nevi (Gorlin's) syndrome. ''Arch Ophthalmol''. 1985 Dec;103(12):1833-6. [https://pubmed.ncbi.nlm.nih.gov/4074174/ 연결]</ref>. 정상적으로 수초는 안구 안으로 들어오지 않지만 0.3~1%에서 사상판을 지나 안구 내에 수초가 형성된다. 출생 후에도 수초 형성이 진행될 수 있지만 대개 황반부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정확한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사상판 결함으로 인해 희소돌기 아교세포가 망막까지 도달하여 수초를 만드는 것으로 추측된다<ref>Magoon EH et al. Development of myelin in human optic nerve and tract. A LM and EM study. ''Arch Ophthalmol''. 1981 Apr;99(4):655-9. [https://pubmed.ncbi.nlm.nih.gov/7224936/ 연결]</ref>. | 임신 5개월이 되면 외슬상체에서 시신경 교차 쪽으로 수초 형성이 시작되어 8개월째에 안구 뒤 시신경까찌 진행하고 10개월째에 사상판까지 수초 형성이 일어난다<ref name=r2>De Jong PT et al. Medullated nerve fibers. A sign of multiple basal cell nevi (Gorlin's) syndrome. ''Arch Ophthalmol''. 1985 Dec;103(12):1833-6. [https://pubmed.ncbi.nlm.nih.gov/4074174/ 연결]</ref>. 정상적으로 수초는 안구 안으로 들어오지 않지만 0.3~1%에서 사상판을 지나 안구 내에 수초가 형성된다. 출생 후에도 수초 형성이 진행될 수 있지만 대개 황반부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정확한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사상판 결함으로 인해 희소돌기 아교세포가 망막까지 도달하여 수초를 만드는 것으로 추측된다<ref>Magoon EH et al. Development of myelin in human optic nerve and tract. A LM and EM study. ''Arch Ophthalmol''. 1981 Apr;99(4):655-9. [https://pubmed.ncbi.nlm.nih.gov/7224936/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전체 인구의 0.3~1.0% 에서 발견된다. 남녀 간에 발생률의 차이는 없으며 대개 한 눈에 발생하나 17~20%가 두 눈에 발생한다. 드물지만 유수 신경 섬유가 후첝거으로 영아기 이후나 성인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안구 외상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후천 시신경 병증이나 망막 중심 동맥 폐쇄, 망막 분지 동맥 폐쇄 후에 유수 신경 섬유가 없어지기도 한다. | 전체 인구의 0.3~1.0% 에서 발견된다. 남녀 간에 발생률의 차이는 없으며 대개 한 눈에 발생하나 17~20%가 두 눈에 발생한다. 드물지만 유수 신경 섬유가 후첝거으로 영아기 이후나 성인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안구 외상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후천 시신경 병증이나 망막 중심 동맥 폐쇄, 망막 분지 동맥 폐쇄 후에 유수 신경 섬유가 없어지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