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진단) |
잔글 (→진단)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ERG : 원뿔, 막대세포 모두에서 기능 이상이 나타난다. ERG 양상은 자가면역 항체가 손상된 망막세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보통 두눈을 침범한다. | * ERG : 원뿔, 막대세포 모두에서 기능 이상이 나타난다. ERG 양상은 자가면역 항체가 손상된 망막세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보통 두눈을 침범한다. | ||
== 진단 == | == 진단 == | ||
확실한 진단방법이 없어서 진단하기가 어렵다. 위의 증상과 환자의 혈청에서 Western blot, 면역형광염색,ELISA 등으로 자가면역 항체를 밝히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ref>어두리 등, 비부종양 자가면역 망막병증 1예, ''한안지'' 2015;56(7):1134-114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04 연결]</ref>. 하지만 다른 망막 질환과 포도막 질환에서도 자가면역 항체가 검출되기 때문에 유의해서 감별해야 한다. 동반된 암이 없음을 확실히 하는 것도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감별질환으로는 신생물딸림 | 확실한 진단방법이 없어서 진단하기가 어렵다. 위의 증상과 환자의 혈청에서 Western blot, 면역형광염색,ELISA 등으로 자가면역 항체를 밝히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ref>어두리 등, 비부종양 자가면역 망막병증 1예, ''한안지'' 2015;56(7):1134-114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04 연결]</ref>. 하지만 다른 망막 질환과 포도막 질환에서도 자가면역 항체가 검출되기 때문에 유의해서 감별해야 한다. 동반된 암이 없음을 확실히 하는 것도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감별질환으로는 신생물딸림 망막병증, [[흰점 증후군]], [[급성 구역 잠복 외망막병증]], [[망막 색소변성]] 같은 망막 변성 질환, 자가항체가 검출될 수 있는 포도막염이 있다. | ||
== 치료 == | == 치료 == | ||
전신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항대사제 등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B세포를 목표로 하는 항CD20 단클론 항체인 [[리툭시맙]] (rituximab) 이 사용되기도 한다. | 전신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항대사제 등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B세포를 목표로 하는 항CD20 단클론 항체인 [[리툭시맙]] (rituximab) 이 사용되기도 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