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읽기언어 상실: 두 판 사이의 차이

860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6일 (화)
잔글
 
8번째 줄: 8번째 줄:


단어를 읽을 때 걸리는 시간 (word-length effect) 을 측정하면,정상인은 글자당 수 밀리초 (ms), 반맹 환자는 약 160 ms 이내이나,순수 읽기언어 상실은 수백~수천 ms가 걸린다<ref>Sheldon CA et al. The word-length effect in acquired alexia, and real and virtual hemianopia. ''Neuropsychologia''. 2012 Apr;50(5):841-51. [https://pubmed.ncbi.nlm.nih.gov/22326623/ 연결]</ref>. 배쪽 경로와 연관된 다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오른쪽 반맹 또는 우상측 사분맹, 오른쪽 시야의 중추 색각 이상, [[시각 인식 불능]]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단어를 읽을 때 걸리는 시간 (word-length effect) 을 측정하면,정상인은 글자당 수 밀리초 (ms), 반맹 환자는 약 160 ms 이내이나,순수 읽기언어 상실은 수백~수천 ms가 걸린다<ref>Sheldon CA et al. The word-length effect in acquired alexia, and real and virtual hemianopia. ''Neuropsychologia''. 2012 Apr;50(5):841-51. [https://pubmed.ncbi.nlm.nih.gov/22326623/ 연결]</ref>. 배쪽 경로와 연관된 다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오른쪽 반맹 또는 우상측 사분맹, 오른쪽 시야의 중추 색각 이상, [[시각 인식 불능]] 등이 동반될 수 있다.
== 감별 진단 ==
읽기에는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필요하므로 다양한 질병을 감별해야 한다. 우선 읽기에 필요한 시력과 중심 5˚ 이내의 시야 장애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중심 5˚ 이내를 포함한 동명성 반맹에서 반맹성 읽기 장애 (hemianopic dyslexia) 가 나타나는데, 이 경우 글의 인지나 처리 과정에는 문제가 없다. 안구 진탕 같은 주시의 어려움도 읽기에 어려움을 일으킨다. 또한 동시 실인증이나 편무시 같은 주의력 장애에서 주의성 독서장애 (attentional dyslexia) 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단어는 정상적으로 읽지만 여러 단어를 같이 읽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며 단어뿐만 아니라 다른 사물도 동시에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이 감별점이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