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렌티큘 제거) |
잔글 (→렌티큘 제거)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걸이(hook)로 작은 주머니(1×2mm)를 만든다. 이 주머니의 평면을 박리하는 동안 이 주머니가 렌티큘의 앞쪽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 걸이의 가장 원위 부분이 각막 표면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또는 눈에서 약간 위쪽으로 들어서) 해야 한다. | # 걸이(hook)로 작은 주머니(1×2mm)를 만든다. 이 주머니의 평면을 박리하는 동안 이 주머니가 렌티큘의 앞쪽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 걸이의 가장 원위 부분이 각막 표면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또는 눈에서 약간 위쪽으로 들어서) 해야 한다. | ||
# CRD를 회전시켜 고리의 끝이 안구 중심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팁을 아래로 누르고 접선 방향으로 구심력을 이용하여 밀어낸다. 이 작업은 팁이 렌티큘의 가장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1mm 길이의 간격만 있으면 시작점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이 과정에서 기구가 앞쪽 인터페이스 (캡과 렌티큘 사이) 의 박리를 시작하기 전에 기구가 정확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 # CRD를 회전시켜 고리의 끝이 안구 중심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팁을 아래로 누르고 접선 방향으로 구심력을 이용하여 밀어낸다. 이 작업은 팁이 렌티큘의 가장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1mm 길이의 간격만 있으면 시작점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이 과정에서 기구가 앞쪽 인터페이스 (캡과 렌티큘 사이) 의 박리를 시작하기 전에 기구가 정확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 ||
# 일단 렌티큘의 가장자리에 | # 일단 렌티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 CRD의 끝으로 앞쪽 평면을 분리한다. | ||
# 3에서 분리된 렌티큘의 가장자리 아래로 CRD를 진행시키고, 각막기질 바닥으로부터 렌티클의 뒷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 # 3에서 분리된 렌티큘의 가장자리 아래로 CRD를 진행시키고, 각막기질 바닥으로부터 렌티클의 뒷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 ||
# 환자에게 아래를 보도록 지시하고 기질 주머니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진 렌티큘을 제거하기 위해 렌티큘 포셉을 사용한다. | # 환자에게 아래를 보도록 지시하고 기질 주머니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진 렌티큘을 제거하기 위해 렌티큘 포셉을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