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80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26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의 [[신경절세포]]에서 시작되는 축삭이 [[시신경 유두]]에 모여서 공막을 뚫고 밖으로 나와 '''시신경 (optic nerve)'''{{신경안과}} 이 된다. 황반에서 시작한 축삭들은 시신경 유두의 이측에 쐐기 모양으로 들어가며, 시신경이 시신경 교차에 가까이 갈수록 황반부 섬유들은 시신경의 중앙에 위치하고 망막의 다른 부위에서 오는 섬유들도 각각 망막에 해당하는 부위를 차지한다. 즉 망막의 상이측에서 오는 신경 섬유는 시신경의 상이측부에, 망막의 하이측에서 오는 신경 섬유는 시신경의 하이측에 위치한다. 황반을 중심으로 망막의 비측과 이측을 나누는 수직선은 시신경 교차로 갈수록 내회전을 하여 시신경 교차에서는 45˚ 내회전을 한 상태가 되며 이 양측의 시신경이 모여서 [[시신경 교차]]가 된다. 시신경에는 뇌로부터 오는 원심성 섬유도 포함되어 있다.
망막의 [[신경절세포]]에서 시작되는 축삭이 [[시신경 유두]]에 모여서 공막을 뚫고 밖으로 나와 '''시신경 (optic nerve)'''{{신경안과}} 이 된다. 황반에서 시작한 축삭들은 시신경 유두의 이측에 쐐기 모양으로 들어가며, 시신경이 시신경 교차에 가까이 갈수록 황반부 섬유들은 시신경의 중앙에 위치하고 망막의 다른 부위에서 오는 섬유들도 각각 망막에 해당하는 부위를 차지한다. 즉 망막의 상이측에서 오는 신경 섬유는 시신경의 상이측부에, 망막의 하이측에서 오는 신경 섬유는 시신경의 하이측에 위치한다. 황반을 중심으로 망막의 비측과 이측을 나누는 수직선은 시신경 교차로 갈수록 내회전을 하여 시신경 교차에서는 45˚ 내회전을 한 상태가 되며 이 양측의 시신경이 모여서 [[시신경 교차]]가 된다.
 
시신경에는 뇌로부터 오는 원심 섬유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로 시신경의 혈류 조절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f>Wolter JR. Centrifugal nerve fibers in the adult human optic nerve: 16d after enucleation. ''Trans Am Ophthalmol Soc''. 1978;76:140-55. [https://pubmed.ncbi.nlm.nih.gov/754369/ 연결]</ref>.
== 구조 ==
== 구조 ==
=== 안구 내 부위 ===
=== 안구 내 부위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