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상피 안내 증식 (epithelial ingrowth) == 역학 == 수술 후 수 주 내에 나타나지만, 수술 후 4일부터 38년 후까지도 보고되었다. 미세한 것까지 포함...)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상피 안내 증식 (epithelial ingrowth) | 상피 안내 증식 (epithelial ingrowth) | ||
== 역학 == | == 역학 == | ||
수술 후 수 주 내에 나타나지만, 수술 후 4일부터 38년 후까지도 보고되었다. 미세한 것까지 포함하면 발생 빈도가 14.7%라는 보고도 있으나 대부분은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없고 일반적으로 0.9~ | 수술 후 수 주 내에 나타나지만, 수술 후 4일부터 38년 후까지도 보고되었다. 미세한 것까지 포함하면 발생 빈도가 14.7%라는 보고도 있으나 대부분은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없고 일반적으로 0.9~1.7% 정도의 발생 빈도를 보인다. | ||
== 원인 == | == 원인 == | ||
모든 형태의 외상 또는 수술에 의한 안구 천공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백내장 적출술은 상피 안내 증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전체층 각막 이식술은 상피 안내 증식의 세 번째 원인 질환이며, 발생률은 약 0.27%로 백내장에서의 빈도보다 낮다. | 모든 형태의 외상 또는 수술에 의한 안구 천공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백내장 적출술은 상피 안내 증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전체층 각막 이식술은 상피 안내 증식의 세 번째 원인 질환이며, 발생률은 약 0.27%로 백내장에서의 빈도보다 낮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