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미국의 경우 해마다 10만건 정도의 HSV 1, 2형의 감염이 발생하며, 안감염의 경우는 2만 건 정도의 1차 감염과 4.8만건 정도의 발병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ref>Goodman JL. Infectio ns caused by HSV, In: Hoeprich PD, Jordan C, Ronald AR. editors Infectious. 5th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94</ref>. HSV 감염은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발병 기전과 치료에 대해 많이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도 공공 의료를 위협하는 심한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으로 남아 있다. | 미국의 경우 해마다 10만건 정도의 HSV 1, 2형의 감염이 발생하며, 안감염의 경우는 2만 건 정도의 1차 감염과 4.8만건 정도의 발병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ref>Goodman JL. Infectio ns caused by HSV, In: Hoeprich PD, Jordan C, Ronald AR. editors Infectious. 5th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94</ref>. HSV 감염은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발병 기전과 치료에 대해 많이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도 공공 의료를 위협하는 심한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으로 남아 있다. | ||
== 병인 == | == 병인 == | ||
사람은 HSV의 유일한 자연 숙주이다. 이 바이러스는 물리적으로 매우 약해 피부나 점막을 통한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서만 감염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첫 감염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대개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에서 일찍 감염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분무화 (aerosolization), 매개 역할 기구 (formites) 나 수영장을 통해 감염되지는 않는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1차 감염의 경우 대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약 1~6% 정도만이 임상적으로 감염이 확인되며, 1차 감염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대개 신경절에 잠복해 있게 된다. 감염 경로의 경우 감염자 대부분이 특정적인 감염의 원인이 되는 신체 접촉이 없는 경우가 많아 불현성 바이러스의 확산이 중요한 감염원으로 생각되며, 대개 감염 후 3~9 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난다<ref>Liesegang TJ et al.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Incidence in Rochester, Minn, 1950 through 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55-9. [https://pubmed.ncbi.nlm.nih.gov/2787981/ 연결]</ref>. | 사람은 HSV의 유일한 자연 숙주이다. 이 바이러스는 물리적으로 매우 약해 피부나 점막을 통한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서만 감염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첫 감염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대개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에서 일찍 감염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분무화 (aerosolization), 매개 역할 기구 (formites) 나 수영장을 통해 감염되지는 않는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1차 감염의 경우 대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약 1~6% 정도만이 임상적으로 감염이 확인되며, 1차 감염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대개 신경절에 잠복해 있게 된다. 감염 경로의 경우 감염자 대부분이 특정적인 감염의 원인이 되는 신체 접촉이 없는 경우가 많아 불현성 바이러스의 확산이 중요한 감염원으로 생각되며, 대개 감염 후 3~9 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난다<ref name=r3>Liesegang TJ et al.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Incidence in Rochester, Minn, 1950 through 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55-9. [https://pubmed.ncbi.nlm.nih.gov/2787981/ 연결]</ref>. | ||
HSV 1 형에 대한 노출은 대개 유년기에 입술이나 입 주변의 분비물에 노출되면서 시작된다. 대개 생후 2개월 이전까지는 모체의 항체가 보호하여 1차 감염 발생이 적지만, 이후 15~25세까지 꾸준하게 증가한다. 안감염은 거의 모든 경우가 재감염이며 1차 감염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생각하기 힘들다. | HSV 1 형에 대한 노출은 대개 유년기에 입술이나 입 주변의 분비물에 노출되면서 시작된다. 대개 생후 2개월 이전까지는 모체의 항체가 보호하여 1차 감염 발생이 적지만, 이후 15~25세까지 꾸준하게 증가한다. 안감염은 거의 모든 경우가 재감염이며 1차 감염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생각하기 힘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