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모음 연축: 두 판 사이의 차이

20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9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눈모음 연축 (convergence spasm)</b> == 원인 == 주 원인은 히스테리라고 생각되며 뇌염, 척수로, 미로 누공, Arnold-Chiari 기형, 뇌하수체 선종, 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눈모음 연축 (convergence spasm)</b>
'''눈모음 연축 (convergence spasm)'''{{신경안과}}
== 원인 ==
== 원인 ==
주 원인은 히스테리라고 생각되며 뇌염, 척수로, 미로 누공, Arnold-Chiari 기형, 뇌하수체 선종, 뒤오목 신경섬유종, 외상 후 발생할 수 있다. 약물로는 ethanol, narcotics, digitalis derivatives, hydralazine, hydroxymethonium, sulfonamides,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그리고 대량의 thiamine 사용 후 올 수 있다.
히스테리나 신경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대사 뇌병증 (metabolic encephalopathy), 아놀드-키아리 기형, 뇌하수체 종양,뇌염, 척수 매독, 미로 샛길 (labyrinthine fistula), 외상 후에도 올 수 있다.
== 위험 인자 ==
대부분 히스테리나 신경증 환자에서 생긴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원거리 주시에 정위인데 반해 근거리를 볼 때 어느 순간 눈모음 연축이 발생하면서 조절 연축과 이에 따른 근시와 축동이 동반된다. 연축은 근거리 주시물을 제거하여도 일정 시간 지속된다.
원거리 주시에서 정위를 보이다가 근거리를 볼 때 어느 순간 눈모음과 조절, 축동, 가성 근시를 동반하며,이러한 증상은 근거리 주시 물체를 제거하여도 일정 시간 지속된다. 눈모음과 함께 축동이 관찰되며 내편위각이 매우 불안정한 양상을 보인다. 외전 시의 신속 운동은 정상이고 한눈운동 검사에서 외전이 정상이며 조절마비제 점안 후에 근시가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축동은 한눈을 가려 눈모음에 필수적인 두눈자극을 차단하면 사라진다.
== 검사 및 진단 ==
* 시야 검사 : 관모양 시야 결손이 나타날 수 있다.
* 시야 검사 : 관모양 시야 결손이 나타날 수 있다.
== 감별 진단 ==
두눈의 [[외향신경 마비]]와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이나 눈모음 연축은 기질적 질환이 아니라 기능적 질환이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 치료 ==
== 치료 ==
원인을 찾아 제거하고,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으면 정신과 치료와 함께 굴절 이상을 교정해주며 근거리 작업을 피하고 독서 시 알맞은 조명, 올바른 자세와 충분한 거리에서 하도록 한다. 두 눈에 아트로핀을 점안하면서 동시에 이중 초점 렌즈 안경을 처방한다. 아트로핀 점안은 눈모음 연축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충분히 사용하여야 하며 수개월간 때로는 1년 이상이 될 수가 있다.
[[아트로핀]]과 같은 [[조절 마비제]]를 점안하고 근거리 작업을 피하며 이중초점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다. 이때 [[아트로핀]]은 눈모음 연축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한다. 그 외에 약한 근시 렌즈를 처방하거나, 간혹 렌즈의 안쪽 1/3 정도를 가려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