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안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177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11일 (화)
잔글
잔글 (→‎약시)
18번째 줄: 18번째 줄:


=== 눈꺼풀 처짐 ===
=== 눈꺼풀 처짐 ===
눈꺼풀 처짐은 복시 증상을 방지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시 수술로 최대한 안구 위치를 교정한 후 눈꺼풀 교정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정도 양안시를 회복시키려면 심한 눈꺼풀 처짐의 교정이 필수적이다. 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업석나 미미할 때는 이마근 걸기술을 시행한다. 이 수술을 하기 전에는 벨 현상과 정상 각막 반사가 있는지 확인한다. 둘 중 하나라도 없으면 술 후 각막 건조로 인한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약한 눈꺼풀 올림이 가능한 경우 탄력이 있어 눈을 감을 수 있는 silastic sling 을 사용하고 인공 눈물을 자주 점안해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이상 재생으로 인해 수평 눈위치와 눈꺼풀의 이상 운동증이 있을 때 외안근 수술만으로 눈꺼풀 교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사시가 있고 마비안의 내전 시 눈꺼풀이 올라가는 경우에 비마비안 후전과 절제술을 시행하면 비마비안으로 주시하기 위해 신경 분포의 긴장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마비안 내전 시 긴장 증가를 유발해 눈꺼풀 처짐을 교정할 수도 있다.
눈꺼풀 처짐은 복시 증상을 방지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시 수술로 최대한 안구 위치를 교정한 후 눈꺼풀 교정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정도 양안시를 회복시키려면 심한 눈꺼풀 처짐의 교정이 필수적이다. 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없거나 미미할 때는 [[이마근 걸기술]]을 시행한다. 이 수술을 하기 전에는 [[현상]]과 정상 각막 반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둘 중 하나라도 없으면 술후 각막 건조로 인한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약한 눈꺼풀 올림이 가능한 경우 탄력이 있어 눈을 감을 수 있는 silastic sling을 사용하고 인공눈물을 자주 점안해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재생으로 인해 수평 눈위치와 눈꺼풀의 이상운동증이 있을 때 외안근 수술만으로 눈꺼풀 교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사시가 있고 마비안의 내전 시 눈꺼풀이 올라가는 경우에 비마비안 후전과 절제술을 시행하면 비마비안으로 주시하기 위해 신경 분포의 긴장도가 증가하고, Hering의 법칙에 의해 마비안 내전의 긴장 증가를 유발하여 눈꺼풀 처짐을 교정할 수도 있다<ref>Gottlob I et al. Surgical management of oculomotor nerve palsy. ''AJO''. 1991 Jan 15;111(1):71-6. [https://pubmed.ncbi.nlm.nih.gov/1985494/ 연결]</ref>.
{{참고}}
{{참고}}
{{뇌신경}}
{{뇌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