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활차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신경안과}}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의 부분 또는 완전 마비를 일으키며, 대개 시간이 흐르면서 같은 쪽 [[하사근 기능 항진]]이 나타난다. 마비근은 상사시가 나타나며, 상사근이 내전 시 하전근이므로 (근축이 시축과 평행할 때) 하방 주시와 반대쪽 주시에서 가장 큰 수직 복시를 호소한다. 이중 매독스 막대 (double Maddox rods) 또는 랑카스터 적녹 안경 (Lancaster red-green glasses) 으로 검사했을 때 외회선을 보인다. 이는 상사근 기능 이상에 동반되는 내회선 상실 (특히 안구가 외전 시) 때문이다. 눈을 내회선하는 상사근 기능은 [[동안신경 마비]] 환자에서 상사근 기능을 확인할 때 특히 중요하다. 눈이 외전된 상태에서 하전을 시도할 때 내회선이 없으면 상사근 기능 역시 없음을 의미한다.{{br}}대부분의 환자는 사경이 나타나며, |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의 부분 또는 완전 마비를 일으키며, 대개 시간이 흐르면서 같은 쪽 [[하사근 기능 항진]]이 나타난다. 마비근은 상사시가 나타나며, 상사근이 내전 시 하전근이므로 (근축이 시축과 평행할 때) 하방 주시와 반대쪽 주시에서 가장 큰 수직 복시를 호소한다. 이중 매독스 막대 (double Maddox rods) 또는 랑카스터 적녹 안경 (Lancaster red-green glasses) 으로 검사했을 때 외회선을 보인다. 이는 상사근 기능 이상에 동반되는 내회선 상실 (특히 안구가 외전 시) 때문이다. 눈을 내회선하는 상사근 기능은 [[동안신경 마비]] 환자에서 상사근 기능을 확인할 때 특히 중요하다. 눈이 외전된 상태에서 하전을 시도할 때 내회선이 없으면 상사근 기능 역시 없음을 의미한다.{{br}}대부분의 환자는 사경이 나타나며,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상사시가 오른쪽 또는 왼쪽 수평 주시에서 증가하는지 확인한다. 이는 가능한 마비근을 둘로 줄여준다. 따라서 오른눈 상사시에서 오른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하직근 (눈이 외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또는 왼눈 하사근 (눈이 내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일 수 있다. 왼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상사근 또는 왼눈 상직근일 수 있다. | # 상사시가 오른쪽 또는 왼쪽 수평 주시에서 증가하는지 확인한다. 이는 가능한 마비근을 둘로 줄여준다. 따라서 오른눈 상사시에서 오른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하직근 (눈이 외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또는 왼눈 하사근 (눈이 내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일 수 있다. 왼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상사근 또는 왼눈 상직근일 수 있다. | ||
# 머리 기울임 검사로 수직 사시의 가능한 원인이 되는 두 근육 사이의 감별 진단을 한다. 왼쪽 주시에서 증가하는 오른눈 상사시를 가지고 있다면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 상사시 증가는 마비된 상사근을 나타낸다. | # 머리 기울임 검사로 수직 사시의 가능한 원인이 되는 두 근육 사이의 감별 진단을 한다. 왼쪽 주시에서 증가하는 오른눈 상사시를 가지고 있다면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 상사시 증가는 마비된 상사근을 나타낸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