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진단) |
잔글 (→진단)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머리 기울임 검사로 수직 사시의 가능한 원인이 되는 두 근육 사이의 감별 진단을 한다. 왼쪽 주시에서 증가하는 오른눈 상사시를 가지고 있다면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 상사시 증가는 상사근 마비를 나타낸다. | # 머리 기울임 검사로 수직 사시의 가능한 원인이 되는 두 근육 사이의 감별 진단을 한다. 왼쪽 주시에서 증가하는 오른눈 상사시를 가지고 있다면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 상사시 증가는 상사근 마비를 나타낸다. | ||
이러한 3단계 검사가 활차신경마비 의심 환자에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다른 수직근 마비를 진단할 때는 신뢰도가 떨어진다.58, 73 제한사시,중증근무력증,스큐편위는 3단계 검사에서 활차신경마비와 비슷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Manchandia와 Demer53는 고해상도 MRI로 명확한 상사근위축을 가진 환자의 30%에서 3단계 검사를 이용하여 상사근 마비를 진단하는 데 실패했으며,3단계 중 첫 번째와 세 번째만 양성이었으므로 3단계 검사 대신 2단계 검사만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 이러한 3단계 검사가 활차신경마비 의심 환자에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다른 수직근 마비를 진단할 때는 신뢰도가 떨어진다.58, 73 제한사시,중증근무력증,스큐편위는 3단계 검사에서 활차신경마비와 비슷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Manchandia와 Demer53는 고해상도 MRI로 명확한 상사근위축을 가진 환자의 30%에서 3단계 검사를 이용하여 상사근 마비를 진단하는 데 실패했으며,3단계 중 첫 번째와 세 번째만 양성이었으므로 3단계 검사 대신 2단계 검사만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 ||
== 치료 == | |||
후천 또는 대상부전된 선천 마비 환자의 수직 또는 회선 복시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안대나 불투명한 콘택트렌즈로 한눈을 가리는 것이다. 경미한 수직 편위를 보이는 경우 수직 프리즘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4 오래된 활차신경 마비 환자는 흔히 '일치의 확산 (spread of comitance)' 을 보인다. 후천 마비의 경우 두개내 수술 후 활차신경이 절단된 것이 확인된 상태가 아니라면, 최소한 6개월 이상 경과할 때까지 상사근 기능이 회복되지 않는지 확인한 후 수술적 교정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 |||
후천 또는 대상부전된 선천 마비에서 일시적으로 같은 쪽 하사근에 보툴리눔 독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독소가 인접한 하직근으로 퍼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으며,Merino 등54은 보툴리눔독소 단독 치료의 성공률이 25% 였다고 보고하였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