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 포도막염의 과거력 ===
=== 포도막염의 과거력 ===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
포도막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이다<ref name=r10 />. 비록 조절이 잘된 포도막염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크진 않지만, 수술 전 3개월 내에 활동성 염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가 있다<ref>Bélair ML et al. Incidence of CME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 and wo uveitis using OCT. ''AJO''. 2009 Jul;148(1):128-35.e2. [https://pubmed.ncbi.nlm.nih.gov/19403110/ 연결]</ref>.
=== 기타 ===
* 분지 정맥폐쇄의 과거력 : 황반부종으로 치료한 병력이 있는 경우 그 위험성이 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수술 시 후낭 파열 : 유리체 소실 유무 또는 유리체 절제술 동반 유무와 상관없01 후낭 파열은 약 2.6배 정도 황반 부종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ref name=r10 />.
* 술 전 [[망막앞막]]
* 망막박리 수술의 과거력
* 녹내장 안약의 사용 : 특히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prostaglandine analog) 의 사용이 위험성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으나 반대로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분류 ==
==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