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잔글 (→약물 치료) |
||
50번째 줄: | 50번째 줄: | ||
== 약물 치료 == | == 약물 치료 == | ||
=== NSAIDs === | |||
NSAIDs는 cyclooxygenase의 활동을 막아 PG의 합성을 억제하는데 이와 같은 작용으로 과거부터 PCME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국소적인 용법이 안내 침투력이 강하고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어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안과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점안액은 | |||
* diclofenac | |||
* ketolac | |||
* nepafenac | |||
* bromfenac | |||
등이며 이는 미국 FDA에서 사용 승인이 되었지만 PCME의 치료와 예방으로 승인을 받은 것은 아니다. 비록 이러한 제제들이 장기간적으로 확실한 치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약 | |||
하지만 많은 임상의들이 선호하는 약제임에는 틀림없다. 치료적인 측면에서도 NSAIDs의 국소 점안이 만성적인 CME를 가진 환자의 시력을 적어도 두 줄 이상 향상시켰다는 보고들이 있으며 약제의 사용을 멈추고 약 1 개월 동안 효과가 지속된다는 보고들 또한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스테로이드와 같이 약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약 50%에서 다시 재발되는 양상을 보고하고 있다. 약제 사용 시 작열감, 결막 충혈, 표층 각막 손상, 각막 융해와 같은 부작용의 발생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전신적인 부작용으로 과민 반응 또는 천식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천식 악화가 발생한 예도 있다.28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 레이저 유리체 융해술 (Nd:YAG vitreolysis) : 유리체가 창상에 끼여 있는 경우 이 치료를 통해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 또한 대조군이 없고 환자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시기 동안의 부종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들은 시술의 독립적인 효과를 인정하기에는 미흡하다. 이러한 측면과 시술 자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경우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다. | * 레이저 유리체 융해술 (Nd:YAG vitreolysis) : 유리체가 창상에 끼여 있는 경우 이 치료를 통해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 또한 대조군이 없고 환자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시기 동안의 부종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들은 시술의 독립적인 효과를 인정하기에는 미흡하다. 이러한 측면과 시술 자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경우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