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61번째 줄: 61번째 줄:
CAI는 망막 내 혹은 망막하 삼출물을 RPE 밖으로 퍼내는 역할을 하여 경구로 복용 시 재발성 CME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29 아직 이 약제를 사용하여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입증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는 없었다.
CAI는 망막 내 혹은 망막하 삼출물을 RPE 밖으로 퍼내는 역할을 하여 경구로 복용 시 재발성 CME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29 아직 이 약제를 사용하여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입증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는 없었다.
=== anti-VEGF ===
=== anti-VEGF ===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는 밀착 연접의 기능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을 생성시킴으로써 CNV와 연관된 AMD,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 정맥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과발현된다. 30 따라서 anti-VEGF는 [[혈액-망막 장벽]]을 강화하여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ranibizumab, bevacizumab, aflibercept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anti-VEGF들이다.
이전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또는 망막정맥 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항혈관 내피성장인자가 망막부종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31-35
또한 여러 연구에서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낭포황반부종
에서도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36_새 부작용
으로는 안내염, 중심망막동맥폐쇄, 망막열공, 망막박리,
수정체손상, 포도막염, 결막하 충혈 등이 있으며 전신적
부작용으로 정맥 혈전증, 위장관 궤양 등이 보고되고 있
□1-39,41-44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