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NSAIDs) |
잔글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I))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I) === |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CAI) === | ||
CAI는 망막 내 혹은 망막하 삼출물을 RPE 밖으로 퍼내는 역할을 하여 경구로 복용 시 재발성 CME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 CAI는 망막 내 혹은 망막하 삼출물을 RPE 밖으로 퍼내는 역할을 하여 경구로 복용 시 재발성 CME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ref>Benitah NR et al. Pseudophakic CME. ''Int Ophthalmol Clin''. 2010 Winter;50(1):139-53. [https://pubmed.ncbi.nlm.nih.gov/20057303/ 연결]</ref> 아직 이 약제를 사용하여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입증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는 없었다. | ||
=== anti-VEGF === | === anti-VEGF === | ||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는 밀착 연접의 기능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을 생성시킴으로써 CNV와 연관된 AMD,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 정맥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과발현된다<ref>Dvorak HF et al.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EGF, microvascular hyperpermeability, and angiogenesis. ''Am J Pathol''. 1995 May;146(5):1029-39. [https://pubmed.ncbi.nlm.nih.gov/7538264/ 연결]</ref>. 따라서 anti-VEGF는 [[혈액-망막 장벽]]을 강화하여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애플리버셉트]]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anti-VEGF들이다. |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 는 밀착 연접의 기능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신생혈관을 생성시킴으로써 CNV와 연관된 AMD, 당뇨 망막병증 또는 망막 정맥폐쇄와 관련된 황반부종에서 과발현된다<ref>Dvorak HF et al. Vascular permeability factor/VEGF, microvascular hyperpermeability, and angiogenesis. ''Am J Pathol''. 1995 May;146(5):1029-39. [https://pubmed.ncbi.nlm.nih.gov/7538264/ 연결]</ref>. 따라서 anti-VEGF는 [[혈액-망막 장벽]]을 강화하여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애플리버셉트]]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anti-VEGF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