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스테로이드) |
잔글 (→스테로이드)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 국소 점안 : 첫 번째 치료제로 고려되지만 단독치료 시 NSAIDs와 병행 치료 시보다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ref>Asano S et al. Reducing angiographic CME and BAB disruption after small-incision PE and foldable IOL implantation :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topical diclofenac 0.1% and betamethasone 0.1%. ''JCRS''. 2008 Jan;34(1):57-6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5082/ 연결]</ref><ref>Wittpenn JR et al; Acular LS for CME Study Group. A randomized, masked comparison of topical ketorolac 0.4% + steroid vs steroid alone in low-risk cataract surgery patients. ''AJO''. 2008 Oct;146(4):554-560. [https://pubmed.ncbi.nlm.nih.gov/18599019/ 연결]</ref>. | * 국소 점안 : 첫 번째 치료제로 고려되지만 단독치료 시 NSAIDs와 병행 치료 시보다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ref>Asano S et al. Reducing angiographic CME and BAB disruption after small-incision PE and foldable IOL implantation :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topical diclofenac 0.1% and betamethasone 0.1%. ''JCRS''. 2008 Jan;34(1):57-6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5082/ 연결]</ref><ref>Wittpenn JR et al; Acular LS for CME Study Group. A randomized, masked comparison of topical ketorolac 0.4% + steroid vs steroid alone in low-risk cataract surgery patients. ''AJO''. 2008 Oct;146(4):554-560. [https://pubmed.ncbi.nlm.nih.gov/18599019/ 연결]</ref>. | ||
* 눈 주위 주사 : 연구가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국소 점안 치료에 재발하는 CME에 사용되며, 이론적으로 유리체강내 주사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다. | * 눈 주위 주사 : 연구가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국소 점안 치료에 재발하는 CME에 사용되며, 이론적으로 유리체강내 주사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다. | ||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TA) 주사 :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감소시키고 국소 점안에 비해 부신피질호르이 고농도로 독성 없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결정 형태인 TA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 주입 후 1.5년까지 유리체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ref>Benhamou N et al. IVTA for refractory pseudophakic ME. ''AJO''. 2003 Feb;135(2):246-9. [https://pubmed.ncbi.nlm.nih.gov/12566041/ 연결]</ref><ref>Jonas JB. IVTA : a change in a paradigm. ''Ophthalmic Res''. 2006;38(4):218-45.[https://pubmed.ncbi.nlm.nih.gov/16763379/ 연결]</ref>. 이러한 긴 반감기와 무독성으로 유리체강내 triamcinolone acetonide 주입은 재발성 낭포황반부종를 가진 환자군에게 유용하나 치료 효과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재발되어 보통 여러 번의 주사가 필요하다. |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TA) 주사 :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감소시키고 국소 점안에 비해 부신피질호르이 고농도로 독성 없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결정 형태인 TA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 주입 후 1.5년까지 유리체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ref name=r21>Benhamou N et al. IVTA for refractory pseudophakic ME. ''AJO''. 2003 Feb;135(2):246-9. [https://pubmed.ncbi.nlm.nih.gov/12566041/ 연결]</ref><ref>Jonas JB. IVTA : a change in a paradigm. ''Ophthalmic Res''. 2006;38(4):218-45.[https://pubmed.ncbi.nlm.nih.gov/16763379/ 연결]</ref>. 이러한 긴 반감기와 무독성으로 유리체강내 triamcinolone acetonide 주입은 재발성 낭포황반부종를 가진 환자군에게 유용하나 치료 효과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재발되어 보통 여러 번의 주사가 필요하다<ref name=r21 />.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