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97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22일 (토)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3번째 줄: 3번째 줄:
* [[선천 외향신경 마비]]
* [[선천 외향신경 마비]]
* [[후천 외향신경 마비]]
* [[후천 외향신경 마비]]
== 임상 소견 ==
제일 눈위치에서 내사시를 보이며 마비안을 외전시키려 할 때 내사시가 증가. 또한 제이 편위각이 제일 편위각보다 크며 마비가 오래되면 대항근인 같은눈 내 직근에 구축이 발생하고 동향근인 반대눈 내직근이 비대되므로 불일치 내사시에서 일치 내사시가 되기도 한다. 아래를 주시할 때 대항 없는 내직근 작용에 의해 약한 V형 사시가 동반되기도 한다. 대부분 외전할 때 복시를 호소하고 마비된 근육쪽으로 얼굴을 돌린다. 만일 어린이에서 얼굴 돌림이 없을 경우 약시 가능성을 생각해야 된다. 두눈 마비인 경우에는 두 눈이 내전 상태이므로 한 눈을 가리지 않으면 일상생활이 어렵다. 두눈 불완전 마비는 눈벌림 마비와 혼동될 수 있다. 두눈 마비는 왼쪽과 오른쪽으로 주시할 때 정면보다 사시가 심해지는 것으로 감별할 수 있다.
== 평가와 관찰 ==
== 평가와 관찰 ==
* 단독 마비가 아닐 때는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하며 동반된 신경학적 증상에 따라 병변 부위를 잘 판단해야 한다.
* 단독 마비가 아닐 때는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하며 동반된 신경학적 증상에 따라 병변 부위를 잘 판단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