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진탕: 두 판 사이의 차이

15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5일 (토)
잔글
잔글 (→‎분류)
19번째 줄: 19번째 줄: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OCT ===
=== OCT ===
Souza-Santos 등13은 망막진탕 환자 11안을 대상으로 SD-OCT 검사의 형태학적 특징을 보고하였으며 01를 통해 망막 진탕의 예후 및 경과 관찰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심한 외상은 타원체 구역 (ellipsoid zone) 의 손상 및 망막의 고반사성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망막 위축, 망막 색소 장애 (pigment disturbance), 시력 저하를 초래할수 있다.
Souza-Santos 등<ref>Souza-Santos F et al. SD OCT in patients w commotio retinae. ''Retina''. 2012 Apr;32(4):711-8. [https://pubmed.ncbi.nlm.nih.gov/22105503/ 연결]</ref>은 망막진탕 환자 11안을 대상으로 SD-OCT 검사의 형태학적 특징을 보고하였으며 01를 통해 망막 진탕의 예후 및 경과 관찰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심한 외상은 타원체 구역 (ellipsoid zone) 의 손상 및 망막의 고반사성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망막 위축, 망막 색소 장애 (pigment disturbance), 시력 저하를 초래할수 있다.
=== FA ===
=== FA ===
맥락막 배경 형광이 감소되거나 차단된 소견을 보인다. 망막 색소상피층의 경한 염색을 보일 수 있으나 주로 24시간 이내에 사라지며, 망막 혈관으로부터의 누출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손상이 심한 경우는 급성 색소상피의 부종으로 인해 후기에 망막 색소상피층에서 심한 누출이 나타난다. 이러한 급성 색소상피 손상은 수주 후 영구적인 색소성 변화를 남기며, 특히 주변부 색소성 변화의 모습은 망막 색소변성의 색소 변화와 유사할 수 있다.
맥락막 배경 형광이 감소되거나 차단된 소견을 보인다. 망막 색소상피층의 경한 염색을 보일 수 있으나 주로 24시간 이내에 사라지며, 망막 혈관으로부터의 누출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손상이 심한 경우는 급성 색소상피의 부종으로 인해 후기에 망막 색소상피층에서 심한 누출이 나타난다. 이러한 급성 색소상피 손상은 수주 후 영구적인 색소성 변화를 남기며, 특히 주변부 색소성 변화의 모습은 망막 색소변성의 색소 변화와 유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