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파열: 두 판 사이의 차이

882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5일 (토)
잔글
잔글 (→‎분류)
1번째 줄: 1번째 줄:
'''맥락막 파열 (choroidal rupture)''' 은 1854년 von Graefe<ref>Von Graefe A. Ze Faile von Rupture der Choroid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854;1:402.</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둔상에 의해 안구가 앞뒤로 눌려지고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급격하게 변형될 때 발생하는 물리적인 분열에 의해 맥락막, 브루크막 및 망막 색소상피 (RPE) 가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ref>Youssri AI et al. Closed-globe contusion injuries of the posterior segment. ''Int Ophthalmol Clin''. 2002 Summer;42(3):79-86. [https://pubmed.ncbi.nlm.nih.gov/12131585/ 연결]</ref><ref>Aguilar JP et al. Choroidal rupture. A histopathologic study of 47 cases. ''Retina''. 1984 Fall-Winter;4(4):269-75. [https://pubmed.ncbi.nlm.nih.gov/6531524/ 연결]</ref>.
'''맥락막 파열 (choroidal rupture)''' 은 1854년 von Graefe<ref>Von Graefe A. Ze Faile von Rupture der Choroid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854;1:402.</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둔상에 의해 안구가 앞뒤로 눌려지고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급격하게 변형될 때 발생하는 물리적인 분열에 의해 맥락막, 브루크막 및 망막 색소상피 (RPE) 가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ref>Youssri AI et al. Closed-globe contusion injuries of the posterior segment. ''Int Ophthalmol Clin''. 2002 Summer;42(3):79-86. [https://pubmed.ncbi.nlm.nih.gov/12131585/ 연결]</ref><ref>Aguilar JP et al. Choroidal rupture. A histopathologic study of 47 cases. ''Retina''. 1984 Fall-Winter;4(4):269-75. [https://pubmed.ncbi.nlm.nih.gov/6531524/ 연결]</ref>.
== 분류 ==
== 분류 ==
* 직접 맥락막 파열 : 맥락막의 직접적인 좌상 괴사로 발생되는데, 드물고 적도부 앞쪽에서 거상연에 평행하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ref>Kaufer G et al. Direct rupture of the choroid. ''Arch Ophthalmol''. 1966 Mar;75(3):384-5. [https://pubmed.ncbi.nlm.nih.gov/5903825/ 연결]</ref>.
=== 직접 맥락막 파열 ===
* 간접 맥락막 파열 : 충격 부위의 반대편 후극부에 발생하며 초승달 모양을 보이고 주로 시신경 경계면과 동심원상으로 발생한다.
맥락막의 직접적인 좌상 괴사로 발생되는데, 드물고 적도부 앞쪽에서 거상연에 평행하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ref>Kaufer G et al. Direct rupture of the choroid. ''Arch Ophthalmol''. 1966 Mar;75(3):384-5. [https://pubmed.ncbi.nlm.nih.gov/5903825/ 연결]</ref>.
=== 간접 맥락막 파열 ===
충격 부위의 반대편 후극부에 발생하며 초승달 모양을 보이고 주로 시신경 경계면과 동심원상으로 발생한다. Nair 등29은 간접 맥락막 파열을 SD-OCT의 결과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 1형 : 망막 색소상피-맥락막 모세혈관층이 피라미드 혹은 돔 모양으로 튀어나온 형태로 다량의 망막하출혈로 인해 망막색소상피-맥락막 모세혈관층이 상승되거나, 망막 색소상피층의 일부가 연속성을 소실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 2형 : 넓은 범위의 망막색소상피-맥락막모세혈관층,시세포 타원체구역(photoreceptor ellipsoid zone), 외경계막 손상과 더불어, 뒤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함몰되고 주변 조직이 결손 부위로 밀려 들어가는 형태이다.
 
총 18명, 18안의 대상안 중 10안은 1형을 보였으며, 8안은 2형을 보였고, 각각 1 안과 2안에서 맥락막 신생혈관이 발생하였다(16.6%).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Aguilar와 Green은 맥락막 파열 후에 출혈, 섬유혈관 조직 증식 및 망막 색소상피 비후 소견이 발생함을 보여주었다. 병변 위쪽의 망막이 침범되는 정도는 망막외층의 소실로부터 망막 전층의 단절까지 다양하며, 섬유 신경교세포 반응으로 치유된다. 심한 외상의 경우 맥락막의 섬유혈관 조직이 망막을 넘어 유리체강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Aguilar와 Green은 맥락막 파열 후에 출혈, 섬유혈관 조직 증식 및 망막 색소상피 비후 소견이 발생함을 보여주었다. 병변 위쪽의 망막이 침범되는 정도는 망막외층의 소실로부터 망막 전층의 단절까지 다양하며, 섬유 신경교세포 반응으로 치유된다. 심한 외상의 경우 맥락막의 섬유혈관 조직이 망막을 넘어 유리체강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