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파열: 두 판 사이의 차이

819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5일 (토)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Hart 등<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P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은 후극부 맥락막 파열이 동반된 환자 10명의 초기 시력은 20/200 이하였으며 이 중 6명은 20/30 이상으로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Hart 등<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P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은 후극부 맥락막 파열이 동반된 환자 10명의 초기 시력은 20/200 이하였으며 이 중 6명은 20/30 이상으로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수 주 후 신경교세포 반흔 (gliotic scar) 을 남기며 주변부는 과색소 침착을 보인다. 시력 저하나 변형시 등의 증상이 발생하거나 망막하액, 망막하 출혈, 지방 침착들이 보일 경우 CNV를 의심해야 한다. 신생혈관의 위치에 따라 출혈성 RPE 박리나 장액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12,23-27 이런 환자들의 대부분이 서서히 진행하는 시력 저하를 보인다.
수 주 후 신경교세포 반흔 (gliotic scar) 을 남기며 주변부는 과색소 침착을 보인다. 시력 저하나 변형시 등의 증상이 발생하거나 망막하액, 망막하 출혈, 지방 침착들이 보일 경우 CNV를 의심해야 한다. 신생혈관의 위치에 따라 출혈성 RPE 박리<ref>Gitter KA et al. Traumatic hemorrhagic RPED. ''Arch Ophthalmol''. 1968 Jun;79(6):729-32. [https://pubmed.ncbi.nlm.nih.gov/5652263/ 연결]</ref>나 장액 망막박리<ref>Hilton GF. Late serosanguineous detachment of the macula after traumatic choroidal rupture. ''AJO''. 1975 Jun;79(6):997-1000. [https://pubmed.ncbi.nlm.nih.gov/1169883/ 연결]</ref><ref>Fuller B et al. Traumatic choroidal rupture w late serous detachment of macula. Report of successful argon laser treatment. ''Arch Ophthalmol''. 1973 Apr;89(4):354-5. [https://pubmed.ncbi.nlm.nih.gov/4735213/ 연결]</ref>가 발생할 수 있으며<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 : diagnosis and treatment. St. Louis: Mosby, 1987</ref><ref>Smith RE et al. Late macular complications of choroidal ruptures. ''AJO''. 1974 May;77(5):650-8. [https://pubmed.ncbi.nlm.nih.gov/4856769/ 연결]</ref>, 이런 환자들의 대부분이 서서히 진행하는 시력 저하를 보인다.


* FA : 파열된 맥락막 혈관에서 망막외층으로 염색약의 누출을 관찰할 수 있으나 수일 후 호전된다<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osterior pole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 치유된 맥락막 파열부는 손상받은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인해 초기에는 저형광을 보이나 후기에는 주변부의 정상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염색약이 확산 되어 과형광을 보인다. CNV가 존재하는 경우 후기에 망막하 공간으로 염색약이 누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 FA : 파열된 맥락막 혈관에서 망막외층으로 염색약의 누출을 관찰할 수 있으나 수일 후 호전된다<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osterior pole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 치유된 맥락막 파열부는 손상받은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인해 초기에는 저형광을 보이나 후기에는 주변부의 정상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염색약이 확산 되어 과형광을 보인다. CNV가 존재하는 경우 후기에 망막하 공간으로 염색약이 누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