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황반 원공: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3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5일 (토)
잔글
12번째 줄: 12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초기에 발생하는 황반 원공은 특징적으로 크기가 1/2유두지름 이하이지만 만성화된 병변은 더 커질 수 있다. 원공은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나지만, 말발굽 모양의 원공도 보고된다.
초기에 발생하는 황반 원공은 특징적으로 크기가 1/2유두지름 이하이지만 만성화된 병변은 더 커질 수 있다. 원공은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나지만, 말발굽 모양의 원공도 보고된다.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되나 드물게 망막 박리로 진행할 수 있다<ref>Aaberg TM et al. Macular holes. ''AJO''. 1970 Apr;69(4):555-62. [https://pubmed.ncbi.nlm.nih.gov/5437820/ 연결]</ref>. Margherio 등<ref>Margherio RR et al. Macular breaks. 2. Management. ''AJO''. 1972 Aug;74(2):233-40. [https://pubmed.ncbi.nlm.nih.gov/5054231/ 연결]</ref>은 외상 망막박리 환자 758명 중 10명 (1.3%) 에서 황반 원공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드물게 황반 원공이 망막박리의 유일한 원인일 수 있으나 망막박리 환자의 주변부 망막 검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황반 원공이 동반된 망막박리의 경우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액체-가스 교환술로 치료하며 수술 성공율은 90% 이상이다.52-59
황반 원공이 동반된 망막박리의 경우 유리체절제술, 내경계막제거술, 액체-가스 교환술로 치료하며 수술 성공율은 90% 이상이다.52-59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