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시력은 안전수동에서 20/40 사이이며, 평균 시력은 20/200이다. | 시력은 안전수동에서 20/40 사이이며, 평균 시력은 20/200이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원인만 다를 뿐 특발성 황반 원공과 비슷하다. 시력은 20/400에서 20/40 정도이며, 환자는 변형시와 중심암점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황반 중심에 잘 경계 지어진 둥근 모양의 전층원공이 관찰되며, 경계면에 망막하액 및 망막내 낭성 변화가 관찰된다. 다양한 크기의 황반원공이 관찰될 수 있으며, Frangieh 등<ref>Frangieh GT et al. A histopathologic study of macular cysts and holes. ''Retina''. 1981;1(4):311-36. [https://pubmed.ncbi.nlm.nih.gov/7348853/ 연결]</ref>은 외상 황반 원공의 평균 직경은 0.86mm, 비외상 황반 원공은 0.66mm 라고 보고하였다. | |||
* FA : 초기에 특정적인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 관찰되고, 중기에 옅은 형광으로 둘러싸이며, 후기에 점차 | |||
과형광이 사라진다<ref>Bressler SB et al. Traumatic maculopathies. Eye trauma. St. Louis: Mosby, 1991.</ref>. | |||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되나 드물게 망막 박리로 진행할 수 있다<ref>Aaberg TM et al. Macular holes. ''AJO''. 1970 Apr;69(4):555-62. [https://pubmed.ncbi.nlm.nih.gov/5437820/ 연결]</ref>. Margherio 등<ref>Margherio RR et al. Macular breaks. 2. Management. ''AJO''. 1972 Aug;74(2):233-40. [https://pubmed.ncbi.nlm.nih.gov/5054231/ 연결]</ref>은 외상 망막박리 환자 758명 중 10명 (1.3%) 에서 황반 원공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드물게 황반 원공이 망막박리의 유일한 원인일 수 있으나 망막박리 환자의 주변부 망막 검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 대부분 안정적으로 유지되나 드물게 망막 박리로 진행할 수 있다<ref>Aaberg TM et al. Macular holes. ''AJO''. 1970 Apr;69(4):555-62. [https://pubmed.ncbi.nlm.nih.gov/5437820/ 연결]</ref>. Margherio 등<ref>Margherio RR et al. Macular breaks. 2. Management. ''AJO''. 1972 Aug;74(2):233-40. [https://pubmed.ncbi.nlm.nih.gov/5054231/ 연결]</ref>은 외상 망막박리 환자 758명 중 10명 (1.3%) 에서 황반 원공이 동반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드물게 황반 원공이 망막박리의 유일한 원인일 수 있으나 망막박리 환자의 주변부 망막 검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