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정상안의 안압)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상공막 정맥압]] | * [[상공막 정맥압]] | ||
에 의해 결정된다. 대개의 경우 안압 상승은 방수 유출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초래된다.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및 시야의 변화는 상승된 안압과 이에 대한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에 의해 결정된다.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시신경 축삭이 손상되는데,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이 낮으면 높지 않은 안압에서도 시신경 축삭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 에 의해 결정된다. 대개의 경우 안압 상승은 방수 유출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초래된다.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및 시야의 변화는 상승된 안압과 이에 대한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에 의해 결정된다.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시신경 축삭이 손상되는데,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이 낮으면 높지 않은 안압에서도 시신경 축삭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 ||
== | == 정상 안압 == | ||
정상 안압이란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우며, 녹내장이라는 질환과 연관하면 시신경 유두에 녹내장성 장애를 주지 않는 안압이다. 모든 눈이 어느 특정한 높이의 안압에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 안압을 정확한 수치로 표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반 사람들에서 안압의 분포로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정상 안압이란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우며, 녹내장이라는 질환과 연관하면 시신경 유두에 녹내장성 장애를 주지 않는 안압이다. 모든 눈이 어느 특정한 높이의 안압에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 안압을 정확한 수치로 표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반 사람들에서 안압의 분포로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
정상인의 안압이 통계학적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안압이 21 mmHg 보다 높은 경우는 약 2.5% 이다. 실제 인구에서는 안압이 21 을 넘는 경우가 이보다 더 많지만 이들 모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병증이나 시야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안압이 21 보다 높더라도 녹내장성 장애가 초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반면,안압이 21 보다 낮아도 녹내장성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안압이 21 보다 높다는 것은 녹내장 진단 기준이라기보다는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위험 인자라는 의미이다. | |||
==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
* 나이 : 안압 분포에 관한 인구 조사에서 많은 연구 결과들은 안압과 나이 사이에 서로 증가하는 상관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관계가 없거나 오히려 연령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나이 : 안압 분포에 관한 인구 조사에서 많은 연구 결과들은 안압과 나이 사이에 서로 증가하는 상관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관계가 없거나 오히려 연령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