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고안압증 (ocular hypertension; OHTN)'''{{녹내장}} 은 안압이 21 mmHg 보다 높지만 시신경 유두와 시야는 정상이고, 안압 상승의 원인이 되는 안소견이나 전신적인 이상이 없는 상태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유병률은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했을 때 4~10%로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유병률은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했을 때 4~10%로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시신경유두와 시야가 정상인 고안압증 환자에서는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가능하다면 치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비치료 원칙은 고안압증 환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의사의 지시에 순웅하고 주기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 한한다. 여기서 꼭 염두에 두어 야 할 것은 환자를 치료하지 않고 추적 관찰을 하는 경우 환자는 자기 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오해하여 추적 관찰에 응하지 않아서 결국 시신경 손상과 시야의 결손을 초래하여 시력을 상실할수도 있다는 것이다.{{br}}고안압증 환자를 치료하고자 결정할 때에는 정상안압 보다 상승한 안압의 크기가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은 안압이 20~30mmHg 정도이나, 때로는 30~40mmHg, 매우 드물게 안압이 40mmHg 이상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안압이 40mmHg이고 시신경의 손상 및 시야 결손이 없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즉 안압이 40mmHg이면 대부분이 시신경손상이나 시야의 결손이 동반되므로 치료 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약물요법을 주로 사용한다. | 시신경유두와 시야가 정상인 고안압증 환자에서는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가능하다면 치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비치료 원칙은 고안압증 환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의사의 지시에 순웅하고 주기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 한한다. 여기서 꼭 염두에 두어 야 할 것은 환자를 치료하지 않고 추적 관찰을 하는 경우 환자는 자기 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오해하여 추적 관찰에 응하지 않아서 결국 시신경 손상과 시야의 결손을 초래하여 시력을 상실할수도 있다는 것이다.{{br}}고안압증 환자를 치료하고자 결정할 때에는 정상안압 보다 상승한 안압의 크기가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은 안압이 20~30mmHg 정도이나, 때로는 30~40mmHg, 매우 드물게 안압이 40mmHg 이상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안압이 40mmHg이고 시신경의 손상 및 시야 결손이 없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즉 안압이 40mmHg이면 대부분이 시신경손상이나 시야의 결손이 동반되므로 치료 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약물요법을 주로 사용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