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각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1,34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7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개방각 녹내장 (open-angle glaucoma; OAG){{녹내장}}
개방각 녹내장 (open-angle glaucoma; OAG){{녹내장}}
== 역학 ==
== 역학 ==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의가 없었기 때문에 녹내장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녹내장의 정의도 다르고, 정상과 녹내장을 구별한는 안압치도 다르기 때문이다.<br />그러나 비교적 신빙성 있는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로 1992년 Klein 등이 Beaver Dam 지역의 43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2.1%라고 발표하였고, 1996년 Mitchell 등은 3.0% 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Framingham 지역의 대단위 조사에서의 유병률은 *5% 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여 70대의 유병률은 40대보다 3~8배 높으며,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흑인의 유병률은 백인보다 3~4배 이상 높다.<br />일본의 Tajimi 시에서는 3.9% ([[원발 개방각 녹내장]] 0.3%, [[정상 안압 녹내장]] 3.6%) 의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7~2008년 한국 녹내장 학회가 금산군 남일면 지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녹내장 역학 조사 결과 [[정상 안압 녹내장]]을 포함한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은 40세 이상에서 3.5%로 나타났다.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의가 없었기 때문에 녹내장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녹내장의 정의도 다르고, 정상과 녹내장을 구별한는 안압치도 다르기 때문이다.
 
비교적 신빙성 있는 OAG의 유병률로 1992년 Klein 등이 미국의 Beaver Dam Eye Study<ref>Klein BE et al. Prevalence of glaucoma.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1992 Oct;99(10):1499-504. [https://pubmed.ncbi.nlm.nih.gov/1454314/ 연결]</ref>에서 43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2.1% 라고 발표하였고,21996년 Mitchell 등은 호주의 Blue Mountains Eye Study<ref>Mitchell P et al. Prevalence of OAG in Australia.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1996 Oct;103(10):1661-9. [https://pubmed.ncbi.nlm.nih.gov/8874440/ 연결]</ref>에서 3.0% 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1976년 미국의 Framingham Eye Study<ref>Kahn HA et al. The Framingham Eye Study. I. Outline and major prevalence findings. ''Am J Epidemiol''. 1977 Jul;106(1):17-32. [https://pubmed.ncbi.nlm.nih.gov/879158/ 연결]</ref>에서 52~85세 인구희 OAG 유병률은 으두 3.3% 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여 70대의 유병률은 40대보다 3~8배 높으며,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혹인의 유병률은 백인보다 3~4배 이상 높다<ref>AAO : Basic and Clinical Science Course. Section 10. Glaucoma, 2007-2008.</ref>.
 
일본의 Tajimi Study<ref>Iwase A et al; Tajimi Study Group, Japan Glaucoma Society. The prevalence of POAG in Japanese : the Tajimi Study. ''Ophthalmology''. 2004 Sep;111(9):1641-8. [https://pubmed.ncbi.nlm.nih.gov/15350316/ 연결]</ref>에서는 40세 이상 성인에서 3.9%의 OAG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7~2008년 한국녹내장학회가 금산군 남일면 지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녹내장 역학조사 [[남일 연구 (2011-2013)|남일 연구]]<ref>Kim CS et al; Namil Study Group, KGS.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 ''Ophthalmology''. 2011 Jun;118(6):1024-30. [https://pubmed.ncbi.nlm.nih.gov/21269703/ 연결]</ref>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 (NTG) 을 포함한 OAG의 유병율은 40세 이상에서 3.5%로 나타났다. 일본 Tajimi Study에서는 POAG 0.3%, NTG 3.6%이었고,우리나라 남일 연구에서는 POAG 0.8%, NTG 2.7%로 나타났다. 이 두 연구 결과는 서양 연구에 비해 NTG의 높은 유병률과 POAG의 낮은 유병률을 보여준다.
 
== 치료 목적과 방침 ==
== 치료 목적과 방침 ==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강하 시킴으로써 그 장애를 경감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치료는 안압을 하강시켜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치료의 부작용 및 합병증을 줄이도록 힘써야 한다. 치료의 시작은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이며 수술은 최대 약물 요법 (maximum tolerable medical therapy; MTMT) 으로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에 쓰여진다.{{br}}녹내장의 진단이 확실하면 치료 방침을 세워야 한다. 방침 중 가장 우선되는 것이 목표 안압이다. 안압의 현저한 감소가 필요하며, 녹내장의 진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약 20~40%의 안압 하강이 알맞은 목표 안압이 될 것이다. 일단 목표 안압이 성취되면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그 목표 안압이 눈의 장애를 방지하는데 충분히 낮은 안압인지 결정하여야 한다.{{br}}최적의 최초 요법은 각각의 환자에게 주는 위험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강하 시킴으로써 그 장애를 경감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치료는 안압을 하강시켜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치료의 부작용 및 합병증을 줄이도록 힘써야 한다. 치료의 시작은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이며 수술은 최대 약물 요법 (maximum tolerable medical therapy; MTMT) 으로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에 쓰여진다.{{br}}녹내장의 진단이 확실하면 치료 방침을 세워야 한다. 방침 중 가장 우선되는 것이 목표 안압이다. 안압의 현저한 감소가 필요하며, 녹내장의 진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약 20~40%의 안압 하강이 알맞은 목표 안압이 될 것이다. 일단 목표 안압이 성취되면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그 목표 안압이 눈의 장애를 방지하는데 충분히 낮은 안압인지 결정하여야 한다.{{br}}최적의 최초 요법은 각각의 환자에게 주는 위험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