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고안압증 환자를 오랫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들 중에서 1년에 약 1% 정도가 시야결손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안압 상승만이 시야결손을 초래하는 유일한 위험 인자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고안압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압하강제 점안군과 관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되었던 OHTS 연구에 의하면 5년 동안 녹내장으로의 진행률이 1 년당 약물투여군에서는 1%, 관찰군에서는 약 2%였다. 녹내장 발생 고위험군에서는 1년당 약 3~5% 였다. | 고안압증 환자를 오랫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들 중에서 1년에 약 1% 정도가 시야결손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안압 상승만이 시야결손을 초래하는 유일한 위험 인자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고안압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압하강제 점안군과 관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되었던 OHTS 연구에 의하면 5년 동안 녹내장으로의 진행률이 1 년당 약물투여군에서는 1%, 관찰군에서는 약 2%였다. 녹내장 발생 고위험군에서는 1년당 약 3~5% 였다. | ||
== | == 치료 == | ||
시신경 유두와 시야가 정상인 환자에서는 치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치료 원칙은 고안압증 환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주기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ref>Boyd BF. Highlights of Ophthalmology - Silver Anniversary ed. New York: Arcata Book Group 1982</ref>. | |||
고안압증의 안압은 대부분 20~30 mmHg 정도에 머무르지만,때로는 30~40, 매우 드물게 40 이상인 경우도 있다. 고안압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압 하강제 점안군과 관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되었던 [[OHTS]] 연구에 의하면 5년 동안 녹내장으로의 진행률이 1년당 약물 투여군에서는 1%,관찰군에서는 약 2%였다<ref>Kass MA et al. The OHTS : a randomized trial determines that topical OHTN medication delays or prevents the onset of POAG. ''Arch Ophthalmol''. 2002 Jun;120(6):701-13; discussion 829-30. [https://pubmed.ncbi.nlm.nih.gov/12049574/ 연결]</ref>. 그러나 녹내장 발생 고위험군에서는 1년당 약 3~5%로 나타났기 때문에<ref>Kass MA et al. Topical timolol administration reduces the incidence of glaucomatous damage in OHTN individuals. A randomized, double-masked, LT clinical trial. ''Arch Ophthalmol''. 1989 Nov;107(11):1590-8. [https://pubmed.ncbi.nlm.nih.gov/2818278/ 연결]</ref> 안압과 여러 가지 위험 인자, 즉 인종, 가족력, 고연령, 중심 각막 두께, 근시, 당뇨 및 시신경 유두 출혈, 고혈압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약물 요법을 주로 사용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