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안압증: 두 판 사이의 차이

610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8월 8일 (화)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여러가지 위험 인자, 즉 인종, 가족력, 고연령, 근시, 당뇨병 및 시신경유두 출혈, 고혈압 등을 고려해야 할 것 이다.
여러가지 위험 인자, 즉 인종, 가족력, 고연령, 근시, 당뇨병 및 시신경유두 출혈, 고혈압 등을 고려해야 할 것 이다.
== 임상 소견 ==
고안압증 환자를 오랫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들 중에서 1년에 약 1% 정도가 시야결손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안압 상승만이 시야결손을 초래하는 유일한 위험 인자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고안압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압하강제 점안군과 관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되었던 OHTS 연구에 의하면 5년 동안 녹내장으로의 진행률이 1 년당 약물투여군에서는 1%, 관찰군에서는 약 2%였다. 녹내장 발생 고위험군에서는 1년당 약 3~5% 였다.
== 치료 ==
== 치료 ==
시신경 유두와 시야가 정상인 환자에서는 치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치료 원칙은 고안압증 환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주기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ref>Boyd BF. Highlights of Ophthalmology - Silver Anniversary ed. New York: Arcata Book Group 1982</ref>.
시신경 유두와 시야가 정상인 환자에서는 치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치료 원칙은 고안압증 환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주기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ref>Boyd BF. Highlights of Ophthalmology - Silver Anniversary ed. New York: Arcata Book Group 1982</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