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9일 (수)
잔글
잔글 (→‎약물)
잔글 (→‎약물)
27번째 줄: 27번째 줄: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악성녹내장의 약물요법은 산동제 및 조절마비제의 점안과 최대 용량의 방수생성 억제제와 고삼투압제를 치료 초기부터 함께 투여해 주는 방법으로, 1% 아트로핀을 점안하고,축동제를 제외한 안압하강제를 점안하며,acetazolamide 250mg을 하루 4번 투약하면서 50% glycerin을 하루 2번 투약하거나 mannitol을 2회 정맥 주사하는 것이다. 이런 최대 약물 요법은 안압이 하강되면서 전방이 깊게 형성될 때까지 계속해야 하는데 대부분 치료 시작 후 짧게 2〜3일이면 악성녹내장이 개선되지만, 길게는 5일 정도까지 투여해야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최소한 5일간은 최대 약물 요법을 계속하여야 하고 대개 50% 정도가 5일 이내 약물요법에 반응한다. 이러한 최대 약물 요법으로 악성 녹내장이 호전되면 약제를 서서히 줄여나간다. 제일 먼저 고삼투압제의 투여를 중단하고 그 다음에 탄산탈수효소억제제를 중단한 후 산동제의 점안을 중단해야 하는데 조절마비제인 아트로핀의 점안은 중단하지 말고 재발을 막기 위해 최소 하루한 번 점안은 계속하여야 한다. 만일 최대약물요법을 4~5일간 시행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악성녹내장이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 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악성녹내장의 약물요법은 산동제 및 조절마비제의 점안과 최대 용량의 방수생성 억제제와 고삼투압제를 치료 초기부터 함께 투여해 주는 방법으로, 1% 아트로핀을 점안하고,축동제를 제외한 안압하강제를 점안하며,acetazolamide 250mg을 하루 4번 투약하면서 50% glycerin을 하루 2번 투약하거나 mannitol을 2회 정맥 주사하는 것이다. 이런 최대 약물 요법은 안압이 하강되면서 전방이 깊게 형성될 때까지 계속해야 하는데 대부분 치료 시작 후 짧게 2〜3일이면 악성녹내장이 개선되지만, 길게는 5일 정도까지 투여해야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최소한 5일간은 최대 약물 요법을 계속하여야 하고 대개 50% 정도가 5일 이내 약물요법에 반응한다. 이러한 최대 약물 요법으로 악성 녹내장이 호전되면 약제를 서서히 줄여나간다. 제일 먼저 고삼투압제의 투여를 중단하고 그 다음에 탄산탈수효소억제제를 중단한 후 산동제의 점안을 중단해야 하는데 조절마비제인 아트로핀의 점안은 중단하지 말고 재발을 막기 위해 최소 하루한 번 점안은 계속하여야 한다. 만일 최대약물요법을 4~5일간 시행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악성녹내장이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 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 레이저 ===


=== 수술 ===
=== 수술 ===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되며 비정상 방수의 흐름의 차단을 풀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동공 차단 기전의 감별 및 해소를 위해 일차적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이전 홍채 절개 부위의 개통성이 의심된다면 주변부 홍채 절제술을 실시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통로를 만들어줄 수 있다. 유리체 내 갇힌 방수의 배출을 위해 후방 공막 절개술 및 vitreous tapping,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수정체 안에서는 앞유리체 절제술과 동반한 홍채 절제술-유리체 절제술-소대 절제술 (iridectomy-hyaloidotomy-zonulectomy) 또한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ref name=r5 /><ref>Luntz MH et al. Malignant glaucoma. ''Surv Ophthalmol''. 1987 Sep-Oct;32(2):73-93. [https://pubmed.ncbi.nlm.nih.gov/3317956/ 연결]</ref>.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되며 비정상 방수의 흐름의 차단을 풀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동공 차단 기전의 감별 및 해소를 위해 일차적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이전 홍채 절개 부위의 개통성이 의심된다면 주변부 홍채 절제술을 실시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통로를 만들어줄 수 있다. 유리체 내 갇힌 방수의 배출을 위해 후방 공막 절개술 및 vitreous tapping,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수정체 안에서는 앞유리체 절제술과 동반한 홍채 절제술-유리체 절제술-소대 절제술 (iridectomy-hyaloidotomy-zonulectomy) 또한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ref name=r5 /><ref>Luntz MH et al. Malignant glaucoma. ''Surv Ophthalmol''. 1987 Sep-Oct;32(2):73-93. [https://pubmed.ncbi.nlm.nih.gov/3317956/ 연결]</ref>.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