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850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9일 (수)
잔글
 
37번째 줄: 37번째 줄:
악성녹내장에서의 유리체에 대한 처치는 그 원인이 방수가 유리체쪽으로 잘못 역류되어 유리체 용적이 증가함으로써 수정체,섬모체돌기 그리고 홍채를 앞쪽으로 밀게 되어 악성 녹내장이 발생한다는 학설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유리체 용적을 줄이고 앞유리체막과 유리체강 사이에 방수의 통로를 만들어 유리체내의 방수가 후방과 전방  
악성녹내장에서의 유리체에 대한 처치는 그 원인이 방수가 유리체쪽으로 잘못 역류되어 유리체 용적이 증가함으로써 수정체,섬모체돌기 그리고 홍채를 앞쪽으로 밀게 되어 악성 녹내장이 발생한다는 학설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유리체 용적을 줄이고 앞유리체막과 유리체강 사이에 방수의 통로를 만들어 유리체내의 방수가 후방과 전방  
으로 쉽게 탈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악순환을 멈추는 것이다.
으로 쉽게 탈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악순환을 멈추는 것이다.
근래에는 자동화된 유리체수술 기구의 발달로 앞유리체 또는 전체 유리체 절제술을 수정체 유화술 또는 절제술,홍채 및 섬모체절제술 등과 함께 시행함으로써 악성 녹내장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표준 유리체절제술방법은 각막윤부에서 3~3.5 mm 떨어진 곳에 공막천자를 통해 주입관과 유리체 절제침을 삽입하여 유리체기저를 포함하
여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홍채 및 섬모체소대절제술을 시행하면 악성녹내장의 병리기전 (aqueous misdirection) 을 근본적으로 해소시킴으로써 재발을 낮춘다. 유리체 절제술시 악성녹내장의 재발률은 수정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수정체 안이 75%, 위수정체안 33%, 수정체절제술 시행한 수정체안 17%로 알려져 있으며,홍채 및 섬모체 소대 절제술을 시행한 앞유리체 절제술과 홍채 및 섬모체소대 절제술 시행하지 않은 전체 유리체 절제술의 재발률은 양쪽 모두 66%로 알려져 있다.20,21 따라서,앞유리체 절제술 보다는 전체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고,만약 수정체안일 경우 수정체유화술 또는 수정체 절제술을 시행한 다음,위수정체안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홍채절제술과 섬모체소대 절제술을 같이 시행하면 전 후방의 자유로운 방수 유출을 유도해 추후 남은 유리체로 인해 유출로가 막힐 염려 없이 악성녹내장의 재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수술 직후 아트로핀 연고나 안약을 투여하고,안약을 수술 후 수주일 또는 수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아트로핀 투여를 중단하고 난 후 전방이 얕아지면 즉시 점안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 반대쪽 눈 치료 ===
=== 반대쪽 눈 치료 ===
반대편 눈 수술 후에도 악성녹내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홍채 절개술이 적응증이라면 수술 전에 적절한 예방적 홍채 절개술 및 내과적 처치로 전방각을 개방시켜 수술을 진행하고 수술 전후에는 산동제 및 조절마비제를 충분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반대편 눈 수술 후에도 악성녹내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홍채 절개술이 적응증이라면 수술 전에 적절한 예방적 홍채 절개술 및 내과적 처치로 전방각을 개방시켜 수술을 진행하고 수술 전후에는 산동제 및 조절마비제를 충분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