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망막 손상) |
잔글 (→백내장) |
||
97번째 줄: | 97번째 줄: | ||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 ||
=== 백내장 === | === 백내장 === | ||
아르곤레이저 사용시 절개부위의 뒤쪽에 있는 수정체 전낭에 국소적인 혼탁이 흔히 나타난다. 백내장이 진행되어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 진행하지 않으며 백내장이 진행되는 비율은 수술하여 홍채를 절제하는 경우와 비슷하다.4 ALI 시 레이저 조사 부위가 동공연에 가까울수록 수정체혼탁 발생률이 높고,백내장의 발생률은 천공의 성공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Nd:YAG 레이저 시 수정체낭의 손상과 백내장 발생은 드물며,수정체의 변화가 | |||
훨씬 적게 발생한다. 동물실험에서 절개부위가 관통된 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를 추가로 조사하여도 수정체손상은 없었고,6 mJ 이하의 출력이나 burst당 1~2 pulses 는 수정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나 더 큰 출력이나 burst당 3 pulses는 국소적 손상을 일으킨다. | |||
=== 망막 손상 === | === 망막 손상 === | ||
대부분의 연구에서 LI는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아르곤 레이저 사용 후 간혹 홍채를 절개한 쪽의 망막이 손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레이저광을 망막 주변부로 향하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대부분의 연구에서 LI는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아르곤 레이저 사용 후 간혹 홍채를 절개한 쪽의 망막이 손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레이저광을 망막 주변부로 향하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