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조직병리학적으로 [[색소 분산 증후군]] 또는 색소 녹내장을 가진 환자에서 홍채상피의 부분적인 위축, 저색소침착 (hypopigmentation), 멜라닌 발생의 지연과 홍채 확대근의 형성부전을 볼 수 있고<ref>Rodrigues MM et al. Spectrum of trabecular pigmentation in OAG : a clinicopathologic study. ''Trans Sect Ophthalmol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6 Mar-Apr;81(2):258-76. [https://pubmed.ncbi.nlm.nih.gov/936399/ 연결]</ref>, 일부 색소녹내장 환자에서 RPE 이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보아 안구내 색소상피의 발생학적 이상이 그 근본 원인으로 추정된다. 또한,최근 방수내로 홍채 멜라닌소체 색소(melanosome pigment) 방출을 초래하는 두개의 전구 멜라닌소체(premalanosome) 단백질(PMEL)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 조직병리학적으로 [[색소 분산 증후군]] 또는 색소 녹내장을 가진 환자에서 홍채상피의 부분적인 위축, 저색소침착 (hypopigmentation), 멜라닌 발생의 지연과 홍채 확대근의 형성부전을 볼 수 있고<ref>Rodrigues MM et al. Spectrum of trabecular pigmentation in OAG : a clinicopathologic study. ''Trans Sect Ophthalmol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6 Mar-Apr;81(2):258-76. [https://pubmed.ncbi.nlm.nih.gov/936399/ 연결]</ref>, 일부 색소녹내장 환자에서 RPE 이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보아 안구내 색소상피의 발생학적 이상이 그 근본 원인으로 추정된다. 또한,최근 방수내로 홍채 멜라닌소체 색소 (melanosome pigment) 방출을 초래하는 두개의 전구 멜라닌소체(premalanosome) 단백질(PMEL)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기도 하였다<ref>Lahola-Chomiak AA et al. Non-Synonymous variants in premelanosome protein (PMEL) cause ocular PDS and PG. ''Hum Mol Genet''. 2019 Apr 15;28(8):1298-1311. [https://pubmed.ncbi.nlm.nih.gov/30561643/ 연결]</ref>. | ||
Campbell<ref>Campbell DG. Pigmentary dispersion and glaucoma. A new theory. ''Arch Ophthalmol''. 1979 Sep;97(9):1667-72. [https://pubmed.ncbi.nlm.nih.gov/475638/ 연결]</ref>은 주변부의 함몰된 홍채가 전반부 섬모체소대에 의하여 마찰됨으로써 색소가 유출된다고 주장하였고,이 가설은 전방이 깊고 렌즈 전면이 편평한 경우 색소 녹내장이 잘 발생하고 렌즈가 두꺼워지는 노년에서 색소녹내장 발생이 줄어드는 역학적 특징과 홍채의 투과결손이 수정체 전반부-섬모체소대 pocket의 분포와 일치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Sugar<ref>Sugar S. PG and the glaucoma a/w the exfoliation-PXS : update. Robert N. Shaffer lecture. ''Ophthalmology''. 1984 Apr;91(4):307-10. [https://pubmed.ncbi.nlm.nih.gov/6717916/ 연결]</ref>는 수정체막과 홍채의 마찰도 색소분산에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고도근시 등 고위험군에서 모두 색소 분산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색소분산증후군을 가진 모든 환자에서 색소녹내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전방각의 발생학적 이상으로 녹내장이 발생할 소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과도한 색소 분산으로 인해 섬유주세포,섬유주조직의 변화와 손상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원발 개방각 녹내장]]의 한 변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