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결과)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 녹내장성 손상이 없는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 안압 하강제의 치료 효과와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대한 지연 또는 방지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 ||
== 결과 == | == 결과 == | ||
연구 시작 60개월 째에, 약물 치료를 받은 군에서 OAG 발생율은 4.4%,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군에서의 발생율은 9.5%로,약물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OAG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령, 큰 유두 함몰비, 조기 시야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OHTN에서 OAG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요인들로 보고하였다. | |||
이 위험 요인들을 바탕으로 위험도를 계산하여 OAG의 발생 위험도가 6% 미만, 6~13%, 13% 이상의 발생확률을 가진 세 군으로 나누고, 또한 처음 연구의 시작 때 약믈을 사용했던 군과,7.5년간 약물치료 없고 약물없이 경과관찰을 한 뒤 나중에 치료군으로 들어온 지연 치료군을 비교하였다. 연구 시작 13년 이후 OAG으로의 진행율은 위험도 6% 미만인 군의 경우 약물 치료군에서 7%, 지연 치료군에서 8%였던 것에 비해, 위험도가 13% 이상인 군에서는 약물치료군에서 28%, 지연 치료군에서 40%였다. | |||
== 결론 == | |||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 | 약물 치료를 받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는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로 안압을 20% 낮추었을 경우 50%의 환자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고안압증에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임상적 위험 요인으로 고령, 큰 유두함몰비, 조기 시야 손상, 얇은 각막, 높은 안압을 보고하였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