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점안약 (eyedrops)''' == 약리역동학 == 투여된 약의 흡수, 분포 및 배설을 다루는 약리 역동학을 고려해야 한다<ref>Shell JW. Pharmacokinetics of topi...) |
잔글 (→제형)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점안제에 첨가하는 방부제로 염화 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이 많이 사용되며 이는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비극성약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눈물막과 잘 섞이게 해서 각막 투과도를 높이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첨가된 보존제는 세균 감염을 방지하지는 못하며, 안구 표면의 자극감이나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안구 조직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적은 종류의 보존제를 사용하거나, 보존제의 용량을 줄이거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약제를 사용하는 경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ref>Leung EW et al. Prevalence of OSD in glaucoma patients. ''J Glaucoma''. 2008 Aug;17(5):350-5. [https://pubmed.ncbi.nlm.nih.gov/18703943/ 연결]</ref>. | 점안제에 첨가하는 방부제로 염화 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이 많이 사용되며 이는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비극성약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눈물막과 잘 섞이게 해서 각막 투과도를 높이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첨가된 보존제는 세균 감염을 방지하지는 못하며, 안구 표면의 자극감이나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안구 조직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적은 종류의 보존제를 사용하거나, 보존제의 용량을 줄이거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약제를 사용하는 경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ref>Leung EW et al. Prevalence of OSD in glaucoma patients. ''J Glaucoma''. 2008 Aug;17(5):350-5. [https://pubmed.ncbi.nlm.nih.gov/18703943/ 연결]</ref>.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