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각막, 결막, 공막 투과) |
잔글 (→안구 내에서의 약제의 분포와 배출)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약물이 각결막과 공막을 통과한 다음 전안부의 각 구조물에 분포하게 된다. 약물의 생물학적 가용성은 국소조직과의 결합,국소조직에서의 대사거 방수유출로를 통한 혈관계로의 확산에 영향을 받는다.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합성 멜라닌은 베타 차단제와 | 약물이 각결막과 공막을 통과한 다음 전안부의 각 구조물에 분포하게 된다. 약물의 생물학적 가용성은 국소조직과의 결합,국소조직에서의 대사거 방수유출로를 통한 혈관계로의 확산에 영향을 받는다.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합성 멜라닌은 베타 차단제와 | ||
85%,에피네프린과 50%, 필로카르핀과 40% 결합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과는 거의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타차단제와 필로카르핀은 유색가토보다 백색가토에서 안압 하강 효과를 더 나타내며 프로스타글란딘은 동일한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일 | 85%,에피네프린과 50%, 필로카르핀과 40% 결합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과는 거의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타차단제와 필로카르핀은 유색가토보다 백색가토에서 안압 하강 효과를 더 나타내며 프로스타글란딘은 동일한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일 | ||
부 약물들은 조직과 결합되어 서서히 유리되는데 베타차단제의 경우 색소함량이 많은 포도막 조직과 결합하여 더 장시간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ref>Salminen L et al. The effect of ocular pigmentation on IOP response to timolol. ''Acta Ophthalmol Suppl (1985)''. 1985;173:15-8. [https://pubmed.ncbi.nlm.nih.gov/3002092/ 연결]</ref>. 필로카르핀을 포함한 다른 약물들도 안조직 내에서 대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약제를 점안하였을 때 안구 주위로 배출되거나 조직과 결합하거나 비활성화된 부분을 제외한 약제의 일부만이 목표 조직에 도달하여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 부 약물들은 조직과 결합되어 서서히 유리되는데 베타차단제의 경우 색소함량이 많은 포도막 조직과 결합하여 더 장시간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ref>Salminen L et al. The effect of ocular pigmentation on IOP response to timolol. ''Acta Ophthalmol Suppl (1985)''. 1985;173:15-8. [https://pubmed.ncbi.nlm.nih.gov/3002092/ 연결]</ref>. 필로카르핀을 포함한 다른 약물들도 안조직 내에서 대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약제를 점안하였을 때 안구 주위로 배출되거나 조직과 결합하거나 비활성화된 부분을 제외한 약제의 일부만이 목표 조직에 도달하여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ref>Lee VH et al. Corneal metabolism of pilocarpine in pigmented rabbits. ''IOVS''. 1980 Feb;19(2):210-3. [https://pubmed.ncbi.nlm.nih.gov/7351355/ 연결]</ref>. | ||
== 제형 == | == 제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