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안압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57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9월 13일 (수)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녹내장으로의 진행 ==
== 녹내장으로의 진행 ==
높은 안압은 녹내장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전체 고안압증환자의 약 10%에서 5년 동안에 녹내장으로 진행하여 고안압이 중요한 위험인자이긴 하지만, 7 POAG로 진행하는 데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다. 고안압증 환자들을 안압 하강제 점안군과 관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되었던 OHTS (Ocular Hypertension Treatment Study) 연구에 의하면 5년 동안 녹내장으로의 진행률이 1년마다 약물 투여군에서는 1%, 관찰군에서는 약 2%였다. 녹내장 발생 고위험군에서는 1년마다 약 3~5%였다.8
높은 안압은 녹내장 발생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전체 고안압증환자의 약 10%에서 5년 동안에 녹내장으로 진행하여 고안압이 중요한 위험인자이긴 하지만, 7 POAG로 진행하는 데 필요 충분 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다.


과거에는 고안압증 환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OAG가 발생한다고 생각하여 안압이 높으면 바로 POAG라고 잘못 인식하였으나 사실은 고안압증 환자 중 매년 0.5~1%에서만 시야결손이 발생한다고 한다<ref name=r3 />. 그러나 고안압증 환자에서 시야가 정상이라고 하여도 시신경 축삭에 40-50%의 손상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ref>Quigley HA et al. Optic nerve damage in human glaucoma. II. The site of injury and susceptibility to damage. ''Arch Ophthalmol''. 1981 Apr;99(4):635-49. [https://pubmed.ncbi.nlm.nih.gov/6164357/ 연결]</ref>. 고안압증 환자를 치료없이 9년간 추적관찰한 일본의 전향적 연구에 의하면 이 중 10%에서 녹내장이 발생하였다고 한다<ref>Kitazawa Y et al. Untreated OHTN. A LT prospective study. ''Arch Ophthalmol''. 1977 Jul;95(7):1180-4. [https://pubmed.ncbi.nlm.nih.gov/880076/ 연결]</ref>.
과거에는 고안압증 환자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OAG가 발생한다고 생각하여 안압이 높으면 바로 POAG라고 잘못 인식하였으나 사실은 고안압증 환자 중 매년 0.5~1%에서만 시야결손이 발생한다고 한다<ref name=r3 />. 그러나 고안압증 환자에서 시야가 정상이라고 하여도 시신경 축삭에 40-50%의 손상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ref>Quigley HA et al. Optic nerve damage in human glaucoma. II. The site of injury and susceptibility to damage. ''Arch Ophthalmol''. 1981 Apr;99(4):635-49. [https://pubmed.ncbi.nlm.nih.gov/6164357/ 연결]</ref>. 고안압증 환자를 치료없이 9년간 추적관찰한 일본의 전향적 연구에 의하면 이 중 10%에서 녹내장이 발생하였다고 한다<ref>Kitazawa Y et al. Untreated OHTN. A LT prospective study. ''Arch Ophthalmol''. 1977 Jul;95(7):1180-4. [https://pubmed.ncbi.nlm.nih.gov/880076/ 연결]</ref>.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