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초기 녹내장성 손상을 의심케 하는 시야 결손 | * 초기 녹내장성 손상을 의심케 하는 시야 결손 | ||
==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
* 안압이 계속 <span style='color:blue;'>31 mmHg 이상</span> | * 반복 측정한 안압이 계속 <span style='color:blue;'>31 mmHg 이상</span> | ||
* <span style='color:blue;'>얇은 중심각막 두께</span> | * <span style='color:blue;'>얇은 중심각막 두께</span> | ||
* <span style='color:blue;'>수직 유두 함몰비 > 0.7</span> | * <span style='color:blue;'>수직 유두 함몰비 > 0.7</span>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안구 위험 인자 : 녹내장이 의심되는 시신경 모양, 근시, 낮은 안관류압, 스테로이드 투여 후 안압 상승 | * 안구 위험 인자 : 녹내장이 의심되는 시신경 모양, 근시, 낮은 안관류압, 스테로이드 투여 후 안압 상승 | ||
* 전신 위험 인자 : 흑인, 수면 무호흡,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 근시, 편두통, 혈관 연축 | * 전신 위험 인자 : 흑인, 수면 무호흡,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 근시, 편두통, 혈관 연축 | ||
== 치료의 원칙 == | == 치료의 원칙 == | ||
언제 치료를 시작할 지 결정하는 데에는 안과적, 전신적, 심리적, 사회적 상황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녹내장 의증에서 [[원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고 약물의 사용에 따른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 불편함과 부작용 그리고 예방적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모든 녹내장 의증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옳지 않다. 현재 녹내장 의증의 치료 경향은 녹내장 초기 병변이 나타날 때까지는 치료 없이 안압 측정, 시야 측정, 시신경 유두 관찰을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이지만 위험 인자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 언제 치료를 시작할 지 결정하는 데에는 안과적, 전신적, 심리적, 사회적 상황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녹내장 의증에서 [[원발 개방각 녹내장]]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고 약물의 사용에 따른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 불편함과 부작용 그리고 예방적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모든 녹내장 의증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옳지 않다. 현재 녹내장 의증의 치료 경향은 녹내장 초기 병변이 나타날 때까지는 치료 없이 안압 측정, 시야 측정, 시신경 유두 관찰을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이지만 위험 인자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